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직업계 고등학교 졸업생의 고용 현황 및 임금 수준 분석

Analysis of the Employment and Wage Levels of Vocational High School Graduates
저자
윤혜준 전재식 남기곤
분류정보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발행일
2018.05.15
등록일
2018.05.14
2010년 이후 특성화고 학생의 대학 진학률은 하락 추세(2011년 61.0%→2017년 32.8%)를 보인 반면 취업 비율은 상승 추세(2011년 25.9%→2017년 50.0%)
직업계고 출신자는 다른 학력 계층에 비해 고용률은 더 높고 실업률은 더 낮은, 상대적으로 양호한 고용 상황을 보이고 있음.
직업계고 졸업생은 제조업 분야로 진출하는 경우가 많았으며 전통적인 생산직종(기능원 및 관련 기능 종사자와 장치, 기계조작 및 조립 종사자)의 비중이 일반고 출신 졸업생에 비해 더 높음. 
직업계고 졸업생의 임금 수준은 중졸 이하 계층에 비해서는 25.0%, 일반고 졸업생에 비해서는 3.1% 유의하게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난 반면, 전문대 졸업생과 일반대 졸업생에 비해서는 각각 21.7%, 44.2% 낮았음.
Since 2010, the college enrollment rate of vocational high school graduates has declined from 61.0% in 2011 to 32.8% in 2017, whereas their employment rate has risen from 25.9% to 50% in the same period.
Vocational high school graduates have a higher employment rate and a lower unemployment rate, which means that they enjoy greater job security than those in other education level segments.
They often work in the manufacturing sector and have a higher rate of employment in traditional manufacturing jobs (semi-skilled, equipment/machine operator, and assembly jobs) than general high school graduates do.
As for wage levels, vocational high school graduates make 25.0% more than middle school graduates or lower and 3.1% more than general high school graduates, but they earn 21.7% and 44.2% less than junior college and college graduates, respectively.
관련 주제 다른자료의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ㅈ어보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기본 인재개발 동향분석 연구 사업(2018) 2018.01.01~2018.12.31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557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