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 내 신도심과 구도심 간 교육 격차
The Education Gap between Old and New Towns in Cities
- 저자
- 채창균
- 분류정보
- 발행기관
- 한국직업능력개발원
- 발행일
- 2018.05.30
- 등록일
- 2018.05.29
신도시 개발 등으로 같은 도시 내에 신도심이 건설된 경우 신도심과 구도심 소재 학교 학생 간의 교육 격차가 상당한 수준인 것으로 확인됨. 특히 중학교의 경우 신도심과 구도심의 격차가 T점수 기준으로 3.8점, 초등학교의 경우 1.5점인 것으로 확인되는데, 이는 무시하기 어려운 수준의 격차임. 이렇게 교육 격차가 발생하는 것은 신도심과 구도심 소재 학교 학생의 개인적 특성과 가구 배경에 상당한 차이가 존재하기 때문임. 특히 가구 배경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이 매우 크게 나타남. 반면 학교는 이러한 교육 격차 해소에 그다지 기여하고 있지 못하는 것으로 확인됨.
When new towns are built through a development project in a city, the education gap between old towns and new ones seems to be significantly large. The gap represented by the T-score is 3.8 for middle school and 1.5 for elementary school - a discrepancy which is hard to ignore. This gap comes from the considerable differences in individual characteristics and family backgrounds between students in old towns and those in new towns. Family backgrounds, in particular, are found to have a tremendous impact on academic achievement. The school system does not contribute much to narrowing the education gap.
번호 | 제목 | 저자 | 발행일 | 발행기관 | 첨부 |
---|
관련 과제 정보전체 2 건
수탁 | 도시 내 교육격차 해소 방안 연구 | 2017.09.13~2017.12.11 | 바로가기 |
기본 | 인재개발 동향분석 연구 사업(2018) | 2018.01.01~2018.12.31 | 바로가기 |
-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 홍보팀 · 044-415-35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