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대졸 청년층의 직무 불일치 잠재유형 변화 분석

The Change in Potential Job Mismatch Patterns for College-educated Young Adults
저자
길혜지 김영식
분류정보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발행일
2018.07.31
등록일
2018.07.31
40% 이상의 대졸자들이 직무와 교육(기술) 수준의 불일치를 경험하고 있으며, 전공과도 부합하지 않는다고 응답함.
2005년에 비해 2015년의 경우 과소교육 및 과소기술 관련 응답 비율이 각각 5.3%p, 4.6%p 높은 것으로 나타나 직무 수준이 자신의 교육(기술) 수준에 비해 높다고 느끼는 대졸 취업자들이 소폭 늘어난 것으로 나타남.
의약계열과 교육계열의 경우 2005년 대비 2015년에 ‘과소교육-전공 일치 집단’의 비중이 다른 계열보다 급증한 것으로 나타남.
고등교육의 책무성을 고려할 때 대학 졸업생의 직무 불일치를 줄여나갈 수 있도록 정부 및 대학 차원에서 재학생들을 위한 충분한 취업 정보 제공과 진로·취창업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이 요구됨.
40% of college graduates say that they experience a mismatch between their jobs and their education or skill levels and that their jobs are irrelevant to their majors.
Between 2005 and 2015, the proportion of those who report an education or skill mismatch rose by 5.3%p and 4.6%p, respectively, showing a slight increase in the proportion of employed college graduates who feel that their education or skill levels are insufficient to perform their jobs properly.
In healthcare and education, such perceived mismatches rose far more significantly than in other fields between 2005 and 2015.
Given the important role that higher education plays, the government and universities need to address the issue by providing incumbent students with sufficient job information and running career, job, and startup programs.
관련 주제 다른자료의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ㅈ어보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기본 인재개발 동향분석 연구 사업(2018) 2018.01.01~2018.12.31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557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