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우리나라 고등학생의 학습동기와 학습전략, 학업성과

The Motivation, Strategies, and Performance of Korean High School Students
저자
김영식 이은혜
분류정보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발행일
2018.08.20
등록일
2018.08.21
우리나라 고등학생의 10명 중 9명이 자신의 꿈과 미래의 목표를 이루기 위해 공부하고 있음. 반면, 배우는 것 자체가 즐거워서 공부한다는 학생은 28.9%에 불과하며, 수치심, 자기과시와 같이 내면적인 압박이나 외적 보상·처벌 회피를 위해 공부하는 경우도 적지 않음. 
특수목적고(과학고, 외국어고, 마이스터고) 학생들은 배우는 것이 즐거워서나 미래를 준비하기 위해서 공부한다는 학습동기가 일반고와 특성화고에 비해 두드러지게 높음. 
배우는 것이 즐거워서, 또는 미래를 준비하기 위해서와 같이 자기결정력 수준이 높은 학습동기를 가진 고등학생일수록 단순한 암기전략보다는 초인지전략과 동화전략 같이 심층적인 학습전략을 더 많이 구사하며, 더 끈기 있게 공부하는 경향이 있음. 
자기결정력 수준이 높은 학습동기를 지닌 고등학생은 그렇지 않은 학생에 비해 교과목에 대한 흥미도, 유능감, 호감도와 같은 비인지적 학업성과뿐만 아니라 내신 등급 또한 높게 나타남. 
90% of Korean high school students say that they study to achieve their dreams and future goals. However, only 28.9% enjoy their studies and a large number of students study to address their internal issues such as the desire for self-display, avoid external punishment like humiliation, or attain external compensation.
The proportion of students who say that they enjoy their studies or study to prepare themselves for the future is far higher at special-purpose high schools (science, foreign language, and meister high schools) than at regular and vocational high schools.
Such self-motivated high school kids have a greater tendency to adopt sophisticated strategies like meta-cognition and assimilation and to persist in their studies.
Compared to high school students who lack self-motivation, those who exhibit high levels of self-motivation score high in non-cognitive academic achievement criteria such as interest in school subjects, self-efficacy, and favorability, and their academic performance is better as well.
관련 주제 다른자료의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ㅈ어보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기본 인재개발 동향분석 연구 사업(2018) 2018.01.01~2018.12.31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557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