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직업지표를 통해 본 비정규직 일자리 특성

The Characteristics of Non-regular Job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Career Indicators
저자
박천수
분류정보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발행일
2019.02.18
등록일
2019.02.18
비정규직이 인식하는 입직 시 자격(정규직 4.20점, 비정규직 3.35점)과 전공(정규직 4.35점, 비정규직 3.58점)의 중요도는 정규직에 비해 낮은 편임.
비정규직은 정규직보다 육체노동의 강도가 높다고 인식하는 편임(정규직 4.36점, 비정규직 4.70점).
임금 수준은 비정규직(4.00점)이 정규직(4.38점)에 비해 낮게 인식하고 있으며, 평균 근로시간은 비정규직(4.54점)이 정규직(4.65점)보다 짧은 것으로 인식함.
비정규성(irregularity)이 강한 단속적인 직무, 훈련 성격의 직무, 창의적 직무 분야에서 비정규직 비율이 50%를 넘는 직업이 다수 확인됨.
 Non-regular workers value the importance of qualification (regular workers: 4.2 points, non-regular workers: 3.35 points) and majors (regular workers: 4.35 points, non-regular workers: 3.58 points) less than regular workers.
 They tend to regard their jobs as more physically demanding than those of regular workers (regular workers: 4.36 points, non-regular workers: 4.7 points)
 They perceive that they have lower-paying jobs (regular workers: 4.38 points, non-regular workers: 4 points) and that they work fewer average hours (regular workers: 4.65 points, non-regular workers: 4.54 points) than their regular counterparts.
 In many occupations with a high level of irregularity, such as intermittent jobs, jobs for mostly training purposes, and creative jobs, the percentage of non-regular workers exceeds 50%.
*The full-text is available in Korean only.
관련 주제 다른자료의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ㅈ어보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기본 인재개발 동향분석 연구 사업(2019) 2019.01.01~2019.12.31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557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