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청년고용(I) : 경기변동과의 관계와 정책적 함의

Youth Employment (I): Its Relationship with Economic Fluctuations and Policy Implications
저자
정지운
분류정보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발행일
2019.05.28
등록일
2019.05.28
경기변동과 비경제활동인구의 관계는 경기역행적이라는 사실을 확인하였지만, 이례적으로 2005년 즈음 경기 후퇴-저점을 경험한 청년집단은 진학, 취업 준비, 실망노동자 등 비경제활동상태로 이행한다는 사실을 발견하였음. 이는 경기상태에 따른 청년의 취업에 대한 기대(expectation)가 반영된 결과로 해석할 수 있음.
문제는 경기변동에 따른 청년집단의 인적자본 축적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경기적 요인에 의해 일자리가 부족할 경우 오히려 노동의 초과공급 상태가 가중될 수 있음.
청년고용의 개선을 위해 유효한 경기부양과 같은 단기적 정책과 함께 노동시장의 유연성 제고 등 제도개혁을 통해 노동시장의 일자리 창출 능력을 지원할 필요가 있음.
특히 경기와 청년집단의 동태적인 의사결정 과정에 주목하고, 그들이 다시 노동시장에 희망을 갖고 나갈 수 있도록 인적자본 축적을 지원하는 체계적인 정책 설계가 필요할 것임.
There is an anti-cyclical relationship between economic fluctuations and the non-economically active population, but those youths who experienced the economic recession and trough around 2005 became economically inactive; they pursued further education, focused on gaining qualifications, or became discouraged workers. This may have reflected youths’ expectations of employment, which has been affected by the country’s economic situation.
If this proliferation of youth human capital continues due to economic fluctuations but the economy fails to create enough jobs, the oversupply of labor may intensify going forward.
To raise youth employment, the government needs to take short-term measures such as pump priming and implement policy innovations such as greater flexibility of the labor market in order to help the market enhance its job creation capabilities.
Attention needs to be paid to the economic cycle and the dynamic decision-making of youths, and systematic policy measures should be developed to support human capital buildup so that youths can enter the labor market with positive expectations.
관련 주제 다른자료의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ㅈ어보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관련 과제 정보전체 2
기본 인구절벽과 청년고용 2018.01.01~2018.10.31 바로가기
기본 인재개발 동향분석 연구 사업(2019) 2019.01.01~2019.12.31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557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