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4년제 대졸자의 복수전공 이수와 첫 일자리 성과

The Relationship between Double Majors and First Employment among Four-year College Graduates
저자
백원영
분류정보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발행일
2019.06.10
등록일
2019.06.10
2016년 기준 4년제 대졸자 중 약 19.5%가 복수전공을 이수하고 있으며, 주전공계열별로 인문계열 42.6%, 비상경계열 23.6%, 상경계열 19.3% 순으로 나타남.
타전공에 비해 상경계열을 복수전공으로 선택하는 비중이 높게 나타났으며, 이는 상경계열 전공이 취업에 보다 유리하게 작용할 것이라는 기대를 반영한 것임.
인문계열 및 비상경계열 학생이 상경계열로 복수전공을 할 경우 첫 직장에 취업할 확률을 높이지만, 상경계열 학생의 복수전공 이수는 취업 성과에 영향을 미치지 않음.
공학 및 자연계열 학생이 상경계열로 복수전공을 할 경우 첫 직장 취업 확률을 높일 수 있으며, 자연계열의 경우 인문계열 복수전공 이수가 첫 직장 취업 확률보다는 취업의 질(정규직 여부, 월평균 임금)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남.
As of 2016, 19.5% of four-year college graduates studied a double major: the figure for liberal arts, non-business, and business students stood at 42.6%, 23.6%, and 19.3%, respectively.
Business majors were the most popular among those who chose to study a double major, which demonstrates that students expected that a business major would give them a better chance of landing a job.
If liberal arts and non-business students choose a business major as part of their double major, it raises their employment prospects. However, a double major doesn’t affect business students’ chances of getting a job.
If science and engineering students select a business major as part of their double major, it increases their employment prospects. If science and engineering students choose a liberal arts major as part of their double major, it doesn’t raise their chances of getting a job, but it does improve the quality of their employment, such as landing a regular position and receiving a higher monthly wage.
관련 주제 다른자료의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ㅈ어보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관련 과제 정보전체 2
기본 OECD 교육성과 지표(INES LSO) 네트워크 사업(2018) 2018.01.01~2018.12.31 바로가기
기본 인재개발 동향분석 연구 사업(2019) 2019.01.01~2019.12.31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557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