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우리나라 국민들의 선호직무와 기피직무

Jobs that Koreans Prefer and Avoid
저자
박천수
분류정보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발행일
2019.06.24
등록일
2019.06.24
보수가 적더라도 공장보다 사무실에서 일하겠다는 응답은 78.0%로 사무 직무에 대한 뚜렷한 선호를 보이는 반면, 기계를 직접 다루거나 수리하는 직무를 수행하지 못하겠다는 응답은 60.9%로 기계 관련 직무에 대한 기피경향을 보임.
회귀분석 결과, 직무에 따른 성별 격차가 큰 편으로 여성은 남성보다 사무 직무를 선호하며(1.66배), 기계 제작·수리 직무를 기피함(0.36배).
직무에 대한 선호와 기피는 개인의 경제적인 여건과 관련 없이 성장 과정에서 경험이나 노동시장 구조와 관련된 것으로 보임. 선호와 기피가 뚜렷한 계층은 고용률이 낮으며, 선호분야는 임금이 낮고 기피분야는 구인난에 직면하고 있음.
학교교육과정에서 실질적인 진로체험 강화를 통해 개인의 실제 적성과 흥미를 파악할 수 있도록 정책적인 지원이 요구됨.
78% of respondents said that they prefer office jobs to factory work even if they are paid less, demonstrating a clear preference for office jobs. 60.9% said that they would not work in positions that require the operation or repair of machines, showing a tendency to avoid jobs involving machinery. 
A regression analysis shows that the gender gap regarding job preference is relatively big, with more women than men preferring office jobs (1.66 times) and avoiding jobs that involve machine manufacturing and/or repair (0.36 times).
Regardless of individuals’ economic status, job preference and avoidance appear to be linked to experiences in formative years or the structure of the labor market. The employment rate is low among population segments that demonstrate a clear preference and avoidance. Preferred jobs are low-paying ones and industries that offer the least preferred jobs have difficulty in finding workers.
Policy support is needed to ensure that school curricula offer more programs for substantive job experience to understand the interest and aptitude of individual students. 
관련 주제 다른자료의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ㅈ어보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기본 인재개발 동향분석 연구 사업(2019) 2019.01.01~2019.12.31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557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