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졸업 10년 후 ‘괜찮은 일자리’를 가지려면

How to Have a
저자
황성수
분류정보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발행일
2019.10.15
등록일
2019.10.15
졸업 이후 10년이 지난 시점에서 ‘괜찮은 일자리(decent jobs)’로 이행하는 청년들의 경우, 진입시점에 선택한 일자리가 모두 전공과 일치되는 일자리, 가능하면 대학에서 배운 전공지식이 도움이 되는 일자리를 선택한 결과였음.
진입시점에 선택한 일자리가 중소기업인지, 대기업 및 공공기관인지 또는 정규직인지 비정규직인지 등 그 일자리 유형보다 전공과의 일치여부가 향후 10년 후 ‘괜찮은 일자리’로의 이행을 결정하였다는 것임.
따라서 졸업 이후 노동시장에 안착하는 시점에 ‘괜찮은 일자리’를 가지려면 졸업시점, 즉 노동시장에 진입하려는 시점에서 그 일자리가 가진 외형적 조건보다는 전공과 일치되면서 대학에서 배운 전공지식이 도움이 되는 일자리인지 판별하는 것이 더욱 중요함을 시사
Most young people who find themselves with decent jobs ten years from college graduation were found to have chosen their first jobs that match their areas of studies during college, or at least that can benefit from the knowledge acquired through such studies. 
This means that alignment with their major was more important in their transition to decent jobs within ten years than the conditions of jobs, such as positions at SMEs/big companies/public institutions or permanent/temporary positions. 
This implies that in order to land decent jobs after graduation, it is more important for job seekers to ask, upon entry to the labor market, whether a job matches their major and can benefit from their knowledge of major subjects than to consider other conditions.   
관련 주제 다른자료의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ㅈ어보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기본 인재개발 동향분석 연구 사업(2019) 2019.01.01~2019.12.31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557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