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직업의식 조사를 통해 본 국민들의 행복도

Happiness Levels of Koreans Determined through a Survey on Work Values
저자
박천수 박화춘
분류정보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발행일
2020.02.10
등록일
2020.02.10
우리나라 국민의 행복도는 100점 만점에 평균 73.68점으로 높은 수준을 나타냄.
여자(74.51점)가 남자(72.96점)보다 행복도가 높게 나타남. 취업 여부에 따라 여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으나, 남자는 취업자의 행복도가 미취업자보다 2.90점 더 높게 나타남.
우리나라 국민의 행복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개인이 스스로 인식하는 ‘주관적인 경제 상태’가 가장 큰 영향을 미치고, 다음으로 실제 ‘가구 소득’, 마지막으로 실제 ‘개인 소득’ 순서임.
이는 비슷한 소득수준에서 보다 행복과 여유를 느낄 수 있도록, 합리적인 소비를 유도하는 사회 문화를 형성할 필요가 있음. 또한, 실질소득 향상을 위한 물가의 안정 필요함. 아울러 가구 소득이 개인 소득보다 개인의 행복도에 더 큰 영향을 미치므로 가구 단위로 적절한 소득이 보장되는 복지정책이 강화되어야 함.
Koreans have a high level of happiness, with an average of 73.68 points out of 100.
Women (74.51 points) were happier than men (72.96 points). In terms of their employment status,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women, but employed men showed 2.90 points higher happiness than the unemployed men.
As a factor affecting the happiness of Koreans, the self-perceived ‘subjective economic status’ had the most significant impact, followed by the real ‘household income’ and ‘personal income.’
It is crucial to create a social culture that promotes rational consumption so that people at similar income levels can feel more happy and relaxed. Also, price stability is needed to improve real income. Furthermore, because household income has a greater effect on personal happiness than personal income, welfare policies should be enhanced to guarantee an adequate income on a household basis. 
관련 주제 다른자료의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ㅈ어보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기본 인재개발 동향분석 연구 사업(2020) 2020.01.01~2020.12.31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557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