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서비스업과 제조업에 대한 숙련전망

Skills Prospects for the Service and Manufacturing Industries
저자
김봄이 이승봉
분류정보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발행일
2020.03.17
등록일
2020.03.17
국가숙련전망 결과를 요약하면, 우리나라의 기업들은 ‘문제처리능력’을 가장 중요한 숙련으로 느끼고 있으며, 10년 후 미래에도 해당 숙련이 가장 중요할 것으로 예측하고 있음.
서비스업과 제조업 모두 ‘문제처리능력’이 각각 62.1%, 60.2%로 가장 중요한 숙련에 해당되고, 다음으로 ‘공동체윤리’가 제조업은 59.7%, 서비스업은 57.2%로 중요한 숙련으로 나타남.
자동차산업은 로봇 밀집도와 반복업무지수가 더 클 뿐 아니라 숙련의 양극화가 더욱 가속화될 것이라는 점이 발견됨.
이러한 전망 결과는 숙련에 대한 연구뿐만 아니라 교육·훈련과 관련된 중장기 정책 등에 적극 활용되어야하며 정책과 별도로, 직업기초능력은 중요한 숙련 유형이면서 핵심 역량이라는 사실을 인지하는 등 인식개선이 가장 필요함.
In summary, the National Skills Outlook found that Korean companies felt ‘problem-processing skills’ to be the most important skills and predicted that it would still be the case 10 years later. 
For the service and manufacturing sectors, ‘problem-processing skills’ were considered to be the most important at 62.1% and 60.2%, respectively, followed by ‘social community ethics’ at 59.7% in the manufacturing sector and 57.2% in the services sector. 
The study found that, for the automotive industry, not only were the robot density and routine task intensity index higher, but there was also a greater acceleration in skill polarization. 
Such outlook results should be widely used not only in skills research but also for medium-term to long-term education and training policies. In addition, improving awareness, for instance, recognizing the value of basic vocational skills as constituting an important skill type as well as a core competency, is necessary. 
관련 주제 다른자료의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ㅈ어보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관련 과제 정보전체 2
기본 국가숙련전망조사(2019) 2019.01.01~2019.12.31 바로가기
기본 인재개발 동향분석 연구 사업(2020) 2020.01.01~2020.12.31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557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