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일학습병행 현장 훈련(OJT) 운영 방식에 따른 훈련 성과 비교

Training Performance Comparison by Work?Learning Dual-Program On-theJob Training (OJT) Method
저자
김대영
분류정보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발행일
2020.04.13
등록일
2020.04.13
‘실무 중심의 OJT’를 경험한 학습근로자들은 OJT를 통한 직무수행능력 향상, 일학습병행을 통해 학습한 것을 활용하는 수준에 대해 가장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음.
‘자율적 방식의 OJT’를 경험한 학습근로자들은 다른 세 가지 유형의 OJT를 경험한 집단에 비해 OJT 운영 방식의 적절성, OJT를 통한 직무수행능력 향상, 일학습병행을 통해 학습한 것을 활용하는 수준, 일학습병행이 조직 몰입 및 경력 몰입 향상에 영향을 준 정도, 그리고 기업현장교사 만족 수준에 대해 부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음.
학습근로자들은 대부분 초기경력자들이므로 그들의 자율에 맡겨두기 보다는 강의 중심이든, 실무 중심이든, 과제 중심이든 기업현장교사가 OJT 목표 및 내용을 명확히 제시하고, 기업현장교사와 학습근로자의 상호작용을 높이는 것이 효과적이라는 것을 시사함.
Apprentices who have received ‘practice-based OJT’ find that ‘the improvement in job skills through OJT’ and ‘the usage level of what had been learned through the Work-Study Dual System’ as the most positive outcome. 
Compared to those who experienced three other types of OJT, apprentices who received ‘autonomous OJT’ perceived the following negatively: ‘the adequacy of operation methods,’ ‘the improvement in job performance through OJT,’ ‘the usage level of what had been learned through the Work-Study Dual System,’ ‘the level of the Work-Study Dual Program’s effect on improving immersion in organization and career,’ and ‘the satisfaction level of in-company trainers.’
The majority of the apprentices are in their early careers. Therefore clearly presenting the goals and contents through in-company trainers, whether it be through lectures, practice, or homework, and increasing interaction with apprentices are suggested to be effective in comparison to leaving it to their own. 
관련 주제 다른자료의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ㅈ어보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관련 과제 정보전체 2
수탁 2019년 일학습병행 성과관리 지원사업 5. 일학습병행 참여주체별 실태조사 2019.01.01~2019.12.31 바로가기
기본 인재개발 동향분석 연구 사업(2020) 2020.01.01~2020.12.31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557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