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PISA 데이터를 활용하여 살펴본 교육 형평성 변화

Changes in Education Equity Analyzed Using Programme for International Student Assessment (PISA) Data
저자
황성수 이지은 금예진
분류정보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발행일
2020.05.11
등록일
2020.05.11
2006년에 비하여 2018년에 ‘개천 龍’ 비율(resiliency ratio: 상위 25% 조건)이 OECD는 0.66%p 증가하고, 한국은 1.78%p 낮아졌음.
 · OECD와 비교하여 우리나라는 부모의 사회ㆍ경제적 배경이 학생의 성적에 더 큰 영향을 미치게 된 것을 의미함.
‘개천 용’ 비율(최상위 4% 조건)은 우리나라를 비롯하여 OECD 국가 및 분석 대상 국가(미국, 일본) 모두 낮아졌음.
 · 불평등은 부모로부터 자녀에게 전달되는가? Yes
 · 교육은 그 고리를 끊어내는가? No 오히려 교육격차를 키우는 촉매로 의심
 · 불평등은 과거와 비교하여 심화되었는가? Yes
부모의 사회·경제적 배경이 학생의 성적에 커다란 영향을 미치지 않는 사회, 사회·경제적 배경에서의 불리함을 극복하기 위한 교육 시스템 도입을 통해 사회 이동성을 높일 수 있는 사회, 보다 쉽게 설명하면 ‘개천에서 용 날 수 있는 사회’를 위하여 교육시스템에 대한 근본적인 변화가 필요함.
In 2018, compared to 2006, the academic ‘resiliency ratio’ of the top 25% increased by 0.66%p for the OECD average and decreased by 1.78%p for Korea.
·This means that, in Korea, the economic, social, and cultural status of parents had a greater impact on students’ grades than it did in OECD countries. 
The ‘resiliency ratio’ of the top 4%, which is the highest group, decreased overall in Korea as well as in OECD countries and other countries analyzed (the US, Japan).
·Is inequality handed down from parents to children? Yes.
·Does education break that loop? No. Rather it is suspected to be a catalyst for widening the educational gap.
·Is inequality deeper than it was in the past? Yes.
The solution is a society in which parents’ economic, social, and cultural status does not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student performance and a society that can improve social advancement through the introduction of an educational system to overcome disadvantages in economic, social, and cultural status. To put it more simply, a radical change in the education system is necessary to create a society that can support movement from ‘rags to riches.’ 
관련 주제 다른자료의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ㅈ어보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기본 인재개발 동향분석 연구 사업(2020) 2020.01.01~2020.12.31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557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