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PISA 데이터로 살펴본 각국의 교육 형평성 비교

Comparisons of Education Equity Using Programme for International Student Assessment (PISA) Data
저자
황성수 이지은 금예진
분류정보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발행일
2020.05.18
등록일
2020.05.18
OECD 기준 주영역 읽기 과목의 ‘개천 龍 비율(resiliency ratio)’은 한국 13.49%, 일본 11.74%, 미국 10.33%이며, OECD 평균은 11.30%임.
KRIVET 기준의 개천 용 비율(성적 상위 25% 조건)은 한국 11.68%, OECD 평균 9.91%, 일본 9.89%, 미국 8.88% 순이며, 또 다른 개천 용 비율(성적 최상위 4% 조건)은 한국 6.39%, 일본 3.67%, OECD 평균 3.58%, 미국 1.45% 순임.
이러한 PISA 2018년 결과는 우리나라가 OECD 및 분석대상 국가(미국, 일본) 보다 교육 형평성이 우수하다는 것을 보여줌.
우리나라를 비롯한 분석 대상 국가 모두에서 성적 최상위 4% 조건의 개천 용 비율이 성적 상위 25%조건의 개천 용 비율보다 매우 낮은 값을 보이고 있음. 이는 최상위권에 해당하는 성적을 기록한 학생 중 부모의 사회·경제적 배경이 하위에 속하는 학생일 확률이 유의적으로 낮음을 의미하며, ‘개천에서 용 나는 사회’와는 점차 멀어진 것으로 보임.
The ‘resiliency ratio’ for OECD standards on reading subjects is 13.49% in Korea, 11.74% in Japan, 10.33% in the US, and 11.30% for the OECD average.
 In the order of ranking based on KRIVET criteria for the resiliency ratio (the top 25% in academic grades) Korea is at 11.68%, followed by the OECD average at 9.91%, Japan at 9.89%, and the US at 8.88%. In the order or ranking based on another resiliency type―the top 4% in grades―Korea is at 6.39%, followed by Japan at 3.67%, the OECD average at 3.58%, and the US at 1.45%.
Such 2018 PISA results show that Korea exceeds the OECD average and the countries analyzed (the US, Japan) in educational equity.
- In Korea and all the other analyzed countries, the resiliency ratio for the top 4% in academic grades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e resiliency ratio for the top 25% in academic grades. This means that the students with the highest grades were significantly less likely to have parents who fell in the low economic, social, and cultural status groups and that Korea was moving farther away from a society that made possible movement from ‘rags to riches.’
관련 주제 다른자료의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ㅈ어보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기본 인재개발 동향분석 연구 사업(2020) 2020.01.01~2020.12.31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557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