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세대 간 사회이동과 노동시장 환경의 영향
Korea’s Intergenerational Social Mobility and the Effect of the Labor Market Environment
- 저자
- 남재욱
- 분류정보
- 발행기관
- 한국직업능력개발원
- 발행일
- 2020.06.08
- 등록일
- 2020.06.08
한국에서 개인의 경제적 지위는 서열화 된 교육구조에서의 상대적 위치가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부모요인 중에서는 부모의 학력보다는 부모의 소득이 중요 부모의 경제적 지위가 자녀의 경제적 지위에 미치는 영향은 노동시장의 불평등 정도가 클수록 더 커지는 것으로 나타남. 부모소득이 자녀소득에 미치는 영향은 낮은 소득분위에서 더 뚜렷하게 나타났으며, 노동시장 불평등에 따른 영향도 낮은 소득분위에서 더욱 분명하여 ‘빈곤의 대물림’ 경향이 확인
In Korea, an individual’s relative standing in a hierarchical education structure had an important influence on economic status, and income was more significant than the education level in parental factors. The impact a parent’s economic status has on that of a child becomes greater as inequality in the labor market widens. The impact of parent income on child income was more distinct in lower-income brackets, and labor market inequality more evidently had a stronger effect in lower-income brackets, confirming the trend of ‘inheriting poverty.’
번호 | 제목 | 저자 | 발행일 | 발행기관 | 첨부 |
---|
관련 과제 정보전체 2 건
기본 | 직업교육과 사회이동 | 2019.01.01~2019.10.31 | 바로가기 |
기본 | 인재개발 동향분석 연구 사업(2020) | 2020.01.01~2020.12.31 | 바로가기 |
-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 홍보팀 · 044-415-35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