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한국의 세대 내 사회이동 유형과 결정요인

Types and Determining Factors of Intergenerational Social Mobility in Korea
저자
남재욱
분류정보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발행일
2020.06.16
등록일
2020.06.16
한국에서 노동시장에 진입한 청년의 세대 내 사회이동은 진입 초기의 소득과 이후의 소득변화 궤적을 기준으로 네 가지 유형으로 분류됨.
각 유형을 비교하면 노동시장 진입 초기 소득이 높을수록 시간에 따른 소득증가 정도도 더 크게 나타나, 경제 활동 기간이 길어질수록 소득격차가 점차 증가한다는 것이 확인됨.
개인은 남성일수록, 원가정 소득이 높을수록,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첫 직장이 정규직이거나 대기업일수록 유리한 궤적의 유형에 속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 노동시장 격차가 성별, 학력, 가정배경, 그리고 첫 직장 진입 형태의 영향을 받는다는 점이 확인됨.
Intra-generational social mobility for a young labor market entrant in Korea can be categorized into four types based on early-stage income and income development curve.
Comparing each type, the higher the beginning income is, the greater the income increase over time, confirming that income disparity widens as the economic participation period extends.
At an individual level, it is more likely that one would be part of a favorable income development curve if one is a male, is from a higher-income family, is more educated, and is hired at a conglomerate or on a permanent employment status. It is confirmed that the labor market disparity is affected by gender, education, family background, and first job.
관련 주제 다른자료의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ㅈ어보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관련 과제 정보전체 2
기본 직업교육과 사회이동 2019.01.01~2019.10.31 바로가기
기본 인재개발 동향분석 연구 사업(2020) 2020.01.01~2020.12.31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557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