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업계고 졸업생의 사회이동성과 직업교육 활동의 영향
Social Mobility of Vocational High School Graduates and the Effect of Vocational Education Activities
- 저자
- 남재욱
- 분류정보
- 발행기관
- 한국직업능력개발원
- 발행일
- 2020.06.22
- 등록일
- 2020.06.22
직업계고 출신 청년들은 부모 소득지위와 동일할 가능성보다는 이동이 나타날 가능성이 높고, 특히 상향이동할 가능성보다는 하향 이동할 가능성이 높음. 집단별 이동가능성을 이행행렬로 분석했을 때, 부모와 자녀가 동일한 계층에 머무르는 대물림 가능성은 소득이 낮을수록 큰 것으로 확인됨. 직업계고 출신 청년들은 직업의 전공일치도가 높을수록 사회적 상향이동 가능성이 높고 하향이동 가능성은 낮은 것으로 나타나 체계적인 진로교육, 취업교육, 취업지원서비스의 중요성을 시사하였으며, 노동시장에서 좋은 일자리를 만드는 것 역시 사회적 상향이동을 위한 중요한 요인으로 확인됨.
Adolescents from vocational high schools are more likely to move into a different income bracket from their parents’; and are more likely to fall to a lower bracket than move up to a higher bracket. When mobility potential by groups is analyzed through a transition matrix, it is found that the likelihood of children inheriting the parent’s social bracket is higher when income is lower. Among vocational high school graduates, they are more likely to experience upward social mobility (and less likely to face downward social mobility) the closer their jobs match their majors. The finding suggests the importance of systematic career path education, job seeking education, job finding support services. Creating quality jobs was also identified as a significant driver for upward social mobility.
번호 | 제목 | 저자 | 발행일 | 발행기관 | 첨부 |
---|
관련 과제 정보전체 2 건
기본 | 직업교육과 사회이동 | 2019.01.01~2019.10.31 | 바로가기 |
기본 | 인재개발 동향분석 연구 사업(2020) | 2020.01.01~2020.12.31 | 바로가기 |
-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 홍보팀 · 044-415-35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