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2016년과 2019년의 직업계고 학과 변화 추이

Trends in Vocational High School Majors in 2016 and 2019
저자
안재영
분류정보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발행일
2020.07.06
등록일
2020.07.06
전국의 17개 시도가 동일하게 직업계고 학생 정원이 감소하는 추세임.
대부분의 교과군에서 학생 수가 감소되었으나 음식조리, 식품가공 교과군은 학생 수가 증가하는 추세임.
인력양성유형의 비중을 분석한 결과, ‘회계경리사무원’, ‘경영지원사무원’, ‘전기전자설비유지보수원’, ‘전기전자제품 및 부품제조원’의 비중이 가장 높지만 감소하는 추세이고, ‘내선공사시공원’, ‘제과제빵원’, ‘조리사’, ‘SW개발자’는 증가하는 추세임.
기존 교과군에 해당하지 않는 ‘기타 교과군’의 비중이 증가하는 추세이고, 2개 이상의 교과군의 기준학과가 융합된 ‘융합학과’의 비중은 20%대임.
일부 교과군에서 해당 교과군의 정체성에 맞지 않는 인력 양성 유형 및 취득 자격이 설정된 사례가 발생함
(예: 화학공업 교과군).
All 17 metropolitan districts and provinces in Korea saw decreasing student count in vocational high schools.

Most subject areas had decreasing number of students, but culinary and food processing majors have trended increasing student count.
Analyzing the breakdown of workforce training categories, ‘accounting and office assistant,’ ‘management support assistant,’ ‘electric and electronic maintenance specialist,’ ‘electric and electronic product and parts manufacturer, has the largest population but is in a decreasing trend. ‘Electric wiring specialist,’ ‘confectionery and baking,’ ‘chefs,’ ‘software developers’ are increasing.
‘Other subjects’, which encompasses subjects that do not fall under existing categories, are increasing in breakdown. ‘Convergent majors,’ which merges subjects from two or more categories, is now in the 20% range.
In some subject categories, there have been cases where workforce training and qualifications acquired were found unfitting of the designated categories (example: chemical engineering category).
관련 주제 다른자료의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ㅈ어보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관련 과제 정보전체 2
수탁 중등 직업교육 활성화를 위한 지원 사업 1. 2018년 직업계고 재구조화 지원 사업 ④ 직업계고 재구조화 참여 시도교육청 운영 지원 2018.03.01~2018.12.31 바로가기
기본 인재개발 동향분석 연구 사업(2020) 2020.01.01~2020.12.31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557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