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일반 취업자와 교사의 직무수행태도 비교

Comparison of Work Ethic Between Teachers in Public Schools and Common Workers in Firms
저자
박화춘 박천수
분류정보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발행일
2020.07.27
등록일
2020.07.27
전체적으로 교사(5.84점)의 직무수행태도가 일반 취업자(5.38점)보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더 높음.
교사는 일반 취업자에 비하여 직무수행태도 가운데 규정준수(0.80점)와 신뢰(0.74점)에서 크게 높으나, 열정(∇0.44점)에서는 더 낮은 점수를 보임. 이는 교사 직업이 고용측면에서 매우 안정적이며 업무수행에서 규칙을 잘 준수해야 하고, 매년 하는 일이 반복되는 특성을 갖고 있음을 시사함.
교사와 일반 취업자의 직무수행태도 격차는 세대별로 베이비부머 세대(0.78점)가 가장 크고, 이어서 밀레니엄 세대(0.45점)이며 엑스 세대(0.44점)가 가장 낮음. 이러한 경향은 과거의 교사 직종의 절대적인 우위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약간 주춤해지다가, 최근 다시 높아지는 추세와 관련된 것으로 해석됨.
권역별로 서울지역 일반 취업자의 직무수행태도는 교사와 유의미한 차이가 없으나 경인·강원권(0.52점) 지역이나 충청권(0.48점) 지역에서는 차이가 뚜렷함. 이는 서울 이외 권역의 교육훈련 강화 필요성을 제기하고 있음.
Overall, teachers (5.84 points) placed higher than generalist employees (5.38 points) on Job Performance Attitude at a statistically meaningful level.
Teachers scored significantly higher in regulation compliance (0.80 points) and trustworthiness (0.74 points) but scored lower in passion (∇0.44 points). This reflects the highly stable nature of the occupation and must well comply to rules while on the job, as well as the repetitiveness per school year. 
The Job Performance Attitude gap between teachers and general employees was highest among Baby Boomers (0.78 points), followed by Millennials (0.45 points), and Generation X (0.78 points) was the narrowest. This tendency can be interpreted as the absolute job preference in teaching slightly deteriorated as time passed, but recently rebounded.
Regionally, general employees and teachers in Seoul did not record a meaningful score gap, but Gyeonggi-Incheon, Gangwon (both 0.52 points), and Chungcheong (0.48 points) regions showed a clear gap. This suggests the need to reinforce training programs in regions outside of Seoul.
관련 주제 다른자료의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ㅈ어보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기본 인재개발 동향분석 연구 사업(2020) 2020.01.01~2020.12.31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557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