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일학습병행 훈련 효과 제고(I): 기업현장교사 필요 능력 개발

Improving Effects of the Work-Learning Dual Training (I): Developing the Essential Skills of Workplace Trainers
저자
김대영
분류정보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발행일
2020.08.10
등록일
2020.08.10
기업현장교사 필요 능력 다섯 가지 모두에 대해 기업현장교사 집단과 학습근로자 집단은 공히 현재 보유수준이 필요 수준에 미달한다고 인식함.
‘직무 전문 지식 및 기술’과 ‘교육훈련 실행 및 전달 능력’의 필요 수준에 대해서는 기업현장교사 집단이, ‘교육훈련 프로그램 설계 및 개발 능력’과 ‘교육훈련 평가 계획 수립 및 실행 능력’의 필요 수준에 대해서는 학습근로자 집단이 더 높게 인식함.
‘직무 전문 지식 및 기술’ 보유 수준에 대해서는 기업현장교사 집단이, ‘교육훈련 프로그램 설계 및 개발 능력’과 ‘교육훈련 평가 계획 수립 및 실행 능력’ 보유 수준에 대해서는 학습근로자 집단이 더 긍정적으로 인식함.
각 능력 개발의 우선순위를 산출한 결과, 기업현장교사 집단과 학습근로자 집단에서 공통적으로 ‘교육훈련 실행 및 전달 능력’, ‘직무 전문 지식 및 기술’, ‘학습근로자 상담 및 관리 능력’이 1~3순위로 확인됨
Workplace trainer group and student trainee groups both recognize inadequate skills in all five essential skillsets of workplace trainers.
Workplace trainer group had a higher satisfactory threshold for ‘expert knowledge and techniques in job function’ and ‘education and training execution and delivery skills,’ student trainee group had a higher satisfactory threshold for ‘education and training program design and development skills’ and ‘design and execution of education and training evaluation.’
Workplace trainer group reflected more positively on ‘expert knowledge and techniques in job function,’ and student trainees reflected more positively on ‘education and training program design and development skills’ and ‘design and execution of education and training evaluation.’
Calculating the development priorities in each skillset, workplace trainer group and student trainee group both recognized ‘education training program design and development skills,’ ‘expert knowledge and techniques in job function,’ and ‘trainee student advisory and management skills’ ranked first through third, respectively.
관련 주제 다른자료의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ㅈ어보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관련 과제 정보전체 2
수탁 2019년 일학습병행 성과관리 지원사업 5. 일학습병행 참여주체별 실태조사 2019.01.01~2019.12.31 바로가기
기본 인재개발 동향분석 연구 사업(2020) 2020.01.01~2020.12.31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557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