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기본소득’, 누가 지지하는가?
Who Supports the Youth Basic Income?
- 저자
- 류기락
- 분류정보
- 발행기관
- 한국직업능력개발원
- 발행일
- 2020.11.09
- 등록일
- 2020.11.09
19-64세 성인 인구 중 약 32.5%가 청년기본소득 도입에 찬성, 반대 의견은 51.7%, 모르겠다는 응답이 15.7%로 나타났음. 남성(34.0%)이 여성(31.0%)에 비해 찬성 비율이 높으며, 청년층(19-34세)이 가장 적극적으로 지지하는 반면 (40.0%), 핵심 연령(35-50세) 집단은 지지 비율(25.5%)이 가장 낮았음. 저소득 가구(가구소득 월 300만원 이하)의 34.5%, 일용직 42.2%, 임시직 39%, 고졸 이하 저학력 집단(35.8%)등 노동시장 취약 집단이 상대적으로 청년기본소득을 더 지지하고 있음. 이러한 결과는 향후 복지정책 및 사회보장 개편 논의 과정에서 이들에 대한 소득 보장 방안에 대한 면밀한 검토가 필요함을 의미함.
About 32.5% of the population aged 19-64 assented to the introduction of this scheme, 51.7% dissented, and 15.7% remained undecided. The percentage of male respondents who assented (34.0%) was higher than that of female respondents (31.0%). While the youth group (19-34) displayed the strongest support (40.0%), the key age group (35-50) recorded the lowest support (25.5%). Vulnerable groups in the labor market from low-income households with a monthly household income reaching KRW 3 million or less (34.5%), day laborers (42.2%), temporary workers (39%), and low-educated workers with educational attainment of a high school diploma or less (35.8%) displayed relatively strong support for this scheme. This result testifies to the need to discuss and find ways to ensure the income of such vulnerable groups through the realignment of social welfare policies and social security systems throughout the future.
번호 | 제목 | 저자 | 발행일 | 발행기관 | 첨부 |
---|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건
기본 | 인재개발 동향분석 연구 사업(2021) | 2021.01.01~2021.12.31 | 바로가기 |
-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 홍보팀 · 044-415-35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