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직업인의 갑·을 의식과 직무수행태도가 임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Workers’ Gop?Eul (aka Superior?Subordinate) Perceptions and Work Ethic on Income
저자
박천수 박화춘
분류정보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발행일
2020.12.21
등록일
2020.12.21
우리나라 취업자 가운데 11.8%가 일자리에서 본인의 업무를 스스로 평가할 때 갑이라고 응답. 남자(13.7%) 취업자 가운데 갑이라는 비중이 여자 취업자(9.2%)보다 높으나 학력수준별로 비중의 차이가 유의미하지 않음.
전체적으로 갑(412.4만원)이 을(285.9만원)보다 69.3% 높은 소득을 얻고 있음. 갑 남자(462.1만원)는 을 여자(232.4만원)보다 2배 가까운 소득을 시현.
직무수행태도 가운데 일에서 주도성이 ‘매우 높음’ 응답자(368.6만원)는 ‘보통’ 응답자(244.2만원)보다 124.3만원 더 높은 월평균 소득을 나타냄.
이러한 사실은 개인의 갑·을 의식이나 직무수행태도가 소득수준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음을 보여줌.
- Among Korea’s employees, 11.8% of the participants, upon self-evaluation, perceived themselves as Gop (a superior’s position) in the workplace. Men (13.7%) were twice as much more likely to think they are Gop than women (9.2%) were, but the difference among educational levels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 Overall, ‘Gops’ (KRW4.124 mn) earned 69.3% more income than ‘Uls (aka. subordinates)’ (KRW2.859 mn). It was revealed that‘’ male Gops (KRW 4.621 mn) made double the income of female Uls(KRW2.324 mn).
- Participants who identified themselves with a strong work ethic(KRW3.686 mn) earned KRW1.243 mn more in income than those who self-evaluated their work ethic as ‘average’ (KRW2.442 mn). 
- The findings revealed that a worker’s Gop-Ul perception and work ethic are closely related to income.
관련 주제 다른자료의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ㅈ어보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기본 인재개발 동향분석 연구 사업(2021) 2021.01.01~2021.12.31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557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