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직업계고 인재상과 교육 목표에 대한 교사 인식

Teachers’ perceptions on vocational high school model student and educational goals
저자
류지은 박동열
분류정보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발행일
2021.01.29
등록일
2021.01.29
직업계고 교사들은 현재와 미래의 직업계고의 교육 목표로서 ‘취업 중심’이 적절하다는 데 각각 76.5%, 80.4%로 가장 높은 동의 비율을 보임.
현재 직업계고에서 추구해야 할 인간상으로는 ‘능력 있는 사람’의 동의 비율이 89.8%로 가장 높고, 미래 직업계고에서 추구해야 할 인간상으로는 ‘더불어 사는 사람’의 동의 비율이 93.7%로 가장 높음.
현재 교육과정에의 반영 정도가 가장 높은 핵심 역량은 ‘전공 역량(평균 4.11점)’이었으며, 직업계고 학생의 핵심 역량으로서 가장 중요한 역량은 ‘의사소통 역량(평균 4.59점)’인 것으로 나타남.
향후 고교학점제 도입에 따른 국가 교육과정 개정 시 기술적으로 뛰어난 인재를 양성하는 데에서 더 나아가, 사회 구성원으로서 살아가는 데 필요한 기본 소양 교육이 강조될 필요가 있음.
- Vocational high school teachers believe that ‘employment focus’ is suitable for current and future educational goals for vocational high school, polling the highest with 76.5% and 80.4%, respectively.
- The ideal person in the current vocational high school was indicated as ‘Competent person’ with 89.8%, and the ideal person of the vocational high school in the future showed ‘who can live with each other’ with 93.7%. 
- Key competency which is the most highly reflected in current curriculum is ‘major competency’ (average of 4.11 points), and the most important core competency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must possess is ‘communication aptitude’ (average of 4.59 points).
- As High School Credit System will be implemented in the future, in addition to developing technically advanced talent when revising the national education system, there needs to be an additional emphasis on educating basic grounding as members of society.
관련 주제 다른자료의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ㅈ어보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관련 과제 정보전체 2
수탁 직업계고 학점제 운영 지원 사업 1. 직업계고 학점제 운영 지원 정책 연구 1-7. 고교 학점제 도입에 따른 직업계고 교육과정 개정 방향 모색 2020.01.01~2021.03.31 바로가기
기본 인재개발 동향분석 연구 사업(2021) 2021.01.01~2021.12.31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557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