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용주가 느끼는 일학습병행의 만족도와 이에 미치는 영향요인 탐색
Inquiry into Employer Satisfaction in Work Study Dual System and Determining Factors
- 저자
- 전성준
- 분류정보
- 발행기관
- 한국직업능력개발원
- 발행일
- 2021.03.15
- 등록일
- 2021.03.15
○ 일학습병행에 참여중이거나 참여했던 고용주들은 전반적으로 일학습병행에 대해 만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61.4%). 참여유형별로는 재학단계보다 재직단계가 높게 나타났으며, 인정방식별로는 훈련과정의 대다수를 차지하고 있는 산업형이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남. ○ 영역별 일학습병행 도입 후 효과(군)에 대한 인식을 분석한 결과, 직무교육훈련 효과군, 기업 문화 변화 효과 및 인력 운용 효과군이 상대적으로 재정적 지원 효과 및 인력 채용 효과에 비해 높게 나타남. ○ 일부 재정적 지원의 효과, 직무교육훈련 효과, 인력 채용 효과 및 인력 운용 효과에 대한 인식이 일학습병행에 대한 고용주의 전반적인 만족도에 영향을 미침. ○ 고용주의 일학습병행에 대한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학습근로자 직무 역량 향상’, ‘사내직무교육훈련교사(멘토) 양성’ 등이며, 향후 제도 홍보를 위해 이 효과를 강조할 필요가 있음.
○ Employers currently participating or previously participated in Work Study Dual System have in general been satisfied with the program (61.4%). ○ Satisfaction was higher for incumbent type than student type in terms of participation type and industry type, which constitutes majority of training process, had relatively low satisfaction in terms of certification type. ○ Perception analysis of changes following the adoption of Work Study Dual System showed higher satisfactions in occupational training effect group and corporate culture and human capital operation effect group over financial support group and employee recruitment effect group. ○ Perceptions on select financial support effect, occupational training effect, employee recruitment and human capital operations effect affected employers’ general satisfaction level with Work Study Dual System. ○ Factors that had positive impact on employers’ satisfaction on Work Study Dual System were ‘improvement in apprentice employee’s aptitude’ and ‘cultivation of in-house occupational trainer (mentors)’; in the future these factors should be emphasized to market the program.
번호 | 제목 | 저자 | 발행일 | 발행기관 | 첨부 |
---|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건
기본 | 인재개발 동향분석 연구 사업(2021) | 2021.01.01~2021.12.31 | 바로가기 |
-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 홍보팀 · 044-415-35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