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성인의 시간 활용 배분과 평생학습 참여

Adults’ Time Appropriation and Participation in Lifelong Learning
저자
남재욱
분류정보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연구원
발행일
2021.06.14
등록일
2021.06.14
○ 2019년 한국 성인은 개인유지를 위한 시간을 제외할 경우 생활시간의 약 60%를 일(노동)과 가사·돌봄에 사용하고 있으며, 학습 시간은 일평균 0.3시간에 불과함.
○ 학습과 여가(재량)에 활용하는 자율시간은 일(노동)과 가사·돌봄에 사용되는 필수시간이 결정하는데, 개인유지 시간을 제외한 시간 중에 일(노동)과 가사·돌봄 시간 비중은 남성은 일에 편중(85:15)된 반면, 여성은 대략 50:50의 분포를 보임.
○ 취업자의 시간 활용에 있어서 고용형태나 소득수준에 따른 차이는 불완전 취업(시간제 등)을 제외하면 뚜렷 하게 나타나지 않음.
○ 고소득 여성은 노동시간이 길지만 가사·돌봄 시간이 비례적으로 감소되지 않아 높은 수준의 시간 빈곤이 나타남.
○ 가구 유형별로는 맞벌이 가구, 돌봄 부담 가구, 한부모 가구에서 자율시간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나, 노동과 돌봄 시간과 관련한 지원이 필요함을 시사함.
○ In 2019, Koreans spent approximately 60% of their time, excluding that for personal maintenance, on work (labor) and housework or childcare. However, their average learning time was just 0.3 hours per day.
○ The discretionary time for learning and leisure was determined by the time used for work and housework or childcare. With the exclusion of the time for personal maintenance, the work?housekeeping or childcare time ratio among men favored work. It was 85:10. For women, it was approximately 50:50.
○ Except among the underemployed, there was no discernible variation in time usage by employment type or income level.
○ High-income women worked long hours. However, their lack of a corresponding reduction in the time spent on housework or childcare has brought extreme time poverty.
○ Individuals in dual-income families, care-burdened households, and single-parent households had little discretionary time. This suggests a need for work and care-time assistance.
관련 주제 다른자료의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ㅈ어보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기본 인재개발 동향분석 연구 사업(2021) 2021.01.01~2021.12.31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557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