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여성의 경력단절 이후 노동시장 이행 현황

The Status of Women’s Labor Force Transitions after Career Interruptions
저자
문한나 고혜원 박상오 이주희
분류정보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연구원
발행일
2021.06.30
등록일
2021.06.30
○ 여성의 경력단절 기간이 길어질수록 훈련 후 취업률이 1년 이상~ 2년 미만 62.0%에서 7년 이상~8년 미만 42.9%로 낮아지는 현상이 뚜렷하게 나타남.
○ 경력단절은 노동시장에서 활용 가능한 스킬의 퇴화를 발생시키며, 경력단절 기간이 길어질수록 훈련 후 취업률이 낮아지고 취업 성과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됨.
○ 경력단절 여성의 노동시장 이행을 위해 직업훈련이 보다 강화될 필요가 있음. 취업을 위한 훈련은 본인의 기존 일 경험을 살릴 수 있는 방향으로 경력단절 초기에 사전 역량진단과 함께 맞춤형으로 훈련과정에 참여할 수 있는 상담이 강화되어야 함을 시사함.
○ For women, as the longer the duration of career interruptions, the employment rate was lower after training. The employment rate dropped from 62% for 1- to 2-year career interruptions to 42.9% for 7- to 8-year career interruptions.
○ Career interruptions have led to the deterioration of labor market skills. Thus, the longer the career interruptions, the lower was the employment rate after training. This has had a negative effect on employment performance.
○ Vocational training should be improved to help women who experience career interruptions to transition into the labor market. Counseling and early stage competency assessments should be improved to provide customized training that enables women to leverage their work experience.
관련 주제 다른자료의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ㅈ어보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관련 과제 정보전체 2
수탁 경력단절 여성에 대한 직업훈련 실태 및 개선방안 2020.04.20~2020.10.19 바로가기
기본 인재개발 동향분석 연구 사업(2021) 2021.01.01~2021.12.31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557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