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국제비교로 본 한국의 국민역량지수

International comparison of the Korean Competency Index
저자
송창용 백원영
분류정보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연구원
발행일
2021.07.30
등록일
2021.07.30
○ 국민의 새로운 역량 개발과 지속적인 기초 역량의 향상은 새로운 기술 및 시장 환경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중요한 요소임.
○ 인적 역량의 저량(stock) 및 유량(flow)으로 구성된 한국의 국민역량지수는 51.1점으로, OECD 평균인 51.5점보다 약 0.4점 낮은 수준임.
○ 국민역량지수를 구성하는 인적 역량 지수는 54.6점으로 OECD 평균(53.9점)보다 소폭 높은 데 반해 인적역량 활용 지수는 47.6점으로 OECD 최하위 수준인 것으로 나타나, 역량의 축적보다 역량의 활용이 상대적으로 크게 취약함.
○ 학습과 경험을 통한 역량습득뿐만 아니라 역량 활용이 일터와 생활에서 일상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문화와 지원이 필요함.
○ The new skills development and basic competency improvement of citizens are considered important factors for nations to positively respond to shifts in the technical landscape and market environment.
○ Korea's overall National Competency Index ― composed of the stock (cognitive skills such as literacy, numeracy and problem solving) and flow (use of skills) of human resources ― stood at 51.1 points, 0.4 points lower than the OECD average of 51.5 points.
○ The stock rate of Koreans, one of the National Competency Indicators, was 54.6 points, slightly higher than the OECD average (53.9 points). Meanwhile, the flow rate of Koreans was 47.6 points, the lowest among the OECD member countries, which reveals the nation’s relatively greater vulnerability in use compared to acquisition of skills.
○ It is necessary to instill a culture, coupled with related support, in which citizens can not only acquire skills through learning and experience but also use them in their everyday lives and workplaces.
관련 주제 다른자료의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ㅈ어보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기본 인재개발 동향분석 연구 사업(2021) 2021.01.01~2021.12.31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557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