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ICT 전문인력 채용 트렌드와 미래 필요 역량

Recruiting Trends of ICT Professionals and Future Required Competencies
저자
홍광표
분류정보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연구원
발행일
2021.09.14
등록일
2021.09.15
○ 2016년과 2020년 전문인력 수요실태조사 비교 분석 결과, ICT 전문인력 경력직 채용 비중은 5년 전에 비해 4.3%p 감소(54.1% → 49.8%)하였고, 신입직 채용 비중은 4.3%p 증가(45.9% → 50.2%)함.
○ ICT 전문인력 신입직 채용의 경우 프로젝트 수행능력(3.17점 → 3.87점)과 외국어 능력(2.58점→3.04점)은 5년 전에 비해 상대적으로 중요해짐.
○ ICT 전문인력 경력직 채용 시 선발 기준의 중요도 순위는 현장실무경력(4.42점), 전문지식 및 보유기술(4.36점), 경력자의 기술 분야(4.35점) 등의 순으로 5년 전과 유사함.
○ 2020년 기준으로 신입직 채용과 관련하여 중요도와 만족도 분석 결과, 집중 관리 및 노력이 필요한 요소는 창의력 (기획력), 혁신적 사고 등으로 나타남.
○ ICT 전문인력에게 미래에 필요한 역량으로는 프로젝트 수행능력과 커뮤니케이션 능력이 매우 중요하나, IPA 분석 결과를 고려하면 프로젝트 수행능력은 유지·강화가 필요하고, 커뮤니케이션 능력은 현재 상태를 유지하거나 다른 분야에 노력을 기울일 필요가 있어, 구직자는 자신의 강점을 맞춤형으로 제시할 수 있는 구직 전략을 수립하는 것이 필요함.
○ According to the comparative analysis of the survey on demand for professional workforce, from 2016 to 2020, the proportion of hiring experienced ICT professionals decreased by 4.3%p (54.1% → 49.8%), while hiring new graduates increased by 4.3%p (45.9% → 50.2%).
○ In the case of recruiting new graduates as ICT professional workforce, project execution ability (3.17 → 3.87 points) and foreign language skills (2.58 → 3.04 points) were considered relatively more important in 2020 compared to five years ago.
○ In terms of capacity criteria for selecting experienced ICT professionals, field experience (4.42 points), specialized knowledge and skills (4.36 points), and the field of expertise (4.35 points) were ranked in order of importance in 2020, similar to five years ago. 
○ As of 2020,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importance and satisfaction in relation to hiring new graduates, factors that require priority management and action include creativity (planning ability) and innovative thinking.
○ Project execution ability and communication skills are considered critical capabilities required for ICT professionals in the future, but according to the IPA analysis, project execution ability needs to be maintained and strengthened, while communication skills should be maintained or more efforts are needed to improve other capabilities. Therefore, it is necessary for job seekers to establish a strategy to present their strengths tailored to the job opening. 
관련 주제 다른자료의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ㅈ어보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기본 인재개발 동향분석 연구 사업(2021) 2021.01.01~2021.12.31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557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