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사업주 훈련 최소 훈련시간 기준에 대한 인식

Perception on Minimum Training Time Standards in Business Owner Training
저자
안우진
분류정보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연구원
발행일
2021.11.15
등록일
2021.11.15
○ 사업주 직업능력개발 집체훈련의 경우 전체 기업 중 약 14%가 최소 훈련시간이 축소되는 제도 변화에 영향을 받을 것으로 파악됨.
○ 전체 기업 중 최소 훈련시간 규제로 훈련을 실시하지 못하거나 훈련비를 환급 받지 못한 영향기업은 약 13%이며, 영향기업의 평균 훈련시간은 비영향기업보다 상대적으로 짧아 제도 변화에 영향을 받을 가능성이 높음.
○ 전반적으로 기업 규모가 작을수록 최소 훈련시간에 영향을 받는 기업의 비중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남.
○ 영향기업에서는 제도 변화 이후의 훈련 증가 가능성에 대한 긍정적인 응답이 비영향기업에 비해 높음.
○ 지난 2005년 개정 이후 현재까지 적용되고 있는 최소 훈련시간의 규제 완화는 기업과 노동자의 훈련과정 선택폭을 확대하고 훈련 참여 부담을 완화하여, 더 많은 기업의 노동자가 훈련에 참여할 수 있어 사회 전체 후생을 증대시킬 것으로 기대됨
○ Approximately 14% of all corporations will be affected by policy changes reducing the minimum training time for business owners’ collective vocational training.
○ Approximately 13% of all corporations are affected entities, which could not provide training or failed to receive reimbursements due to minimum training time regulations. Training time at affected corporations was relatively shorter than unaffected corporations, making them more susceptible to policy changes.
○ In general, more corporations are affected by minimum training times as they are smaller in size.
○ Positive responses on the possibility of increased training following regulatory changes were relatively higher among affected corporations than unaffected corporations.
○ Relaxed regulation of minimum training time, which has been in place since its amendment in 2005, will provide greater selection of training programs for corporations and employees, as well as wider participation resulting from reduced burdens. Such changes are expected to expand the welfare across all of society.
관련 주제 다른자료의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ㅈ어보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관련 과제 정보전체 2
기본 인재개발 동향분석 연구 사업(2021) 2021.01.01~2021.12.31 바로가기
수탁 사업주 직업능력개발훈련 훈련시간 개선방안 2021.03.11~2021.07.10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557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