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청소년기 진로교육 및 체험의 노동시장 성과

Achievements in Adolescent Career Education and Labor Market Experience
저자
유한구 박화춘
분류정보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연구원
발행일
2021.11.30
등록일
2021.11.30
○ 2007년 당시 중학교 남학생보다 여학생이 진로야망과 진로 수업 참여가 더 높고, 성적이 좋은 학생보다 그렇지 않은 학생이 직업 관련 체험 참여도가 더 높음.
○ 청소년기의 긍정적 자아개념과 진로야망의 형성은 성인기에 NEET가 되지 않을 확률을 각각 1.2배와 1.3배 높이고, 높은 소득을 얻을 가능성도 각각 3.2%, 4.8% 증가시킴.
○ 진로야망에 맞는 교육 계획을 가지고 있는 여학생은 그렇지 않은 여학생에 비해 성인이 된 후 월 평균 소득이 약 11만 8천 원 상승하는 효과가 있음.
○ 진로야망이 있는 경우 사회경제적 배경이 좋거나 성적이 우수한 학생의 소득 상승 효과가 더 크게 나타나, 사회경제적 배경과 성적에 따라 청소년기의 진로야망이 성인기 소득에 미치는 효과가 차별적으로 나타남.
○ 학교교육 단계에서의 진로교육은 학생들이 자신의 진로에 대하여 생각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신뢰할 수 있는 전문가와의 상담을 통해 자신의 희망 직업에 필요한 교육 계획과 연계하는 데에 중점을 둘 필요가 있음.
○ In 2007, female middle school students showed higher career ambitions and career education participation than male peers; students with lower academic grades had higher participation in career-related experiences than peers with higher academic grades.
○ Formation of positive self-esteem and career ambition increases the likelihood of avoiding Not in Employment, Education or Training (NEET) in adulthood by 1.2 times and 1.3 times, respectively and probability of higher income by 3.2% and 4.8%, respectively.
○ Having academic planning in line with career ambitions had the effect of increasing average monthly income by KRW118,000 after reaching adulthood among female students.
○ Income elevation effect from having career ambition was greater among students with better socio-economic backgrounds or with better academic achievements, showing that these two factors differentiate the impact adolescent career ambition has on adulthood income.
○ Career education in school curriculum should focus on providing students with the opportunity to contemplate their careers, and aligning their education plans with their vocational aspirations through counseling with credible professionals.
관련 주제 다른자료의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ㅈ어보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관련 과제 정보전체 2
기본 인재개발 동향분석 연구 사업(2021) 2021.01.01~2021.12.31 바로가기
수시 (단기수시)진로교육 및 체험의 노동시장 성과 2021.07.01~2021.09.30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557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