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국내 신규 박사인력의 특성과 학업전념 박사의 노동시장 이행

Characteristics and Labor Market Transition of Full-time Doctorate Recipients from Universities in Korea
저자
장광남
분류정보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연구원
발행일
2021.12.08
등록일
2021.12.08
○ 최근 직장병행, 여성, 공학계열, 비수도권 대학 박사학위 취득자 수 및 비중이 증가하였음.
○ 직장병행 박사는 학업전념 박사에 비해 상대적으로 취득 시점 연령이 높고, 인문·사회계열 박사학위를 취득하는 비중이 높음.
○ 학업전념 박사의 진로확정비중은 2018년을 기점으로 크게 감소하였으며, 특히 여성, 인문·사회계열, 50대 이상 박사들의 진로확정비중이 상대적으로 크게 감소하였음.
○ 학업전념 박사의 상용직, 정규직 근로자 비중은 2018년을 기점으로 증가하였는데, 특히 2020년 기준 인문·사회계열과 교육·예체능 계열에서 학업전념 박사의 상용직, 정규직 근로자 비중이 크게 상승하였음.
○ 최근 노동시장 이행에 있어 학업전념 박사와 직장병행 박사 간 차이가 나타나고 있었으며, 이는 향후 박사인력의 노동시장 이행을 분석할 때 양자를 구분하여 살펴볼 필요가 있음을 시사함.
○ The number and proportion of doctoral degrees awarded to part-time, female, engineering, and non-Seoul metropolitan university candidates have recently increased.
○ Part-time PhDs, compared to full-time PhDs, are relatively older at the time of completing their degrees and more heavily weighted towards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fields.
○ The percentage of career confirmed full-time PhDs have greatly decreased since 2018, particularly so among female,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and 50 years or older PhDs.
○ Greater proportion of full-time PhDs are employed with full-time status beginning 2018, with particularly high proportion of full-time PhDs in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and education and arts being employed with full-time status as of 2020.
○ Differences in labor market transition between full-time and part-time PhDs are becoming more distinct recently; this implies that in the future, the two groups should be differentiated when analyzing labor market transition of PhD workforce.
관련 주제 다른자료의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ㅈ어보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관련 과제 정보전체 2
기본 인재개발 동향분석 연구 사업(2021) 2021.01.01~2021.12.31 바로가기
수시 (단기수시)국내 신규 박사인력의 특성과 노동시장 이행 2021.07.26~2021.10.25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557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