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시설보호청소년의 자립기술 및 진로성숙도 수준

Level of Self-sufficiency and Career Maturity in Youth in Residential Care
저자
변숙영 류지은
분류정보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연구원
발행일
2022.02.15
등록일
2022.02.15
○ 시설보호청소년이 스스로 인식하는 자립기술 수준과 자립지원전담요원이 인식하는 시설보호청소년의 자립 기술 수준 모두 전반적으로 높음.
○ 시설보호청소년의 진로성숙도 T점수 분포는 보통 이상 수준이 90% 내외로 높게 나타나는 데 비해, 자립지원전담요원이 인식하는 시설보호청소년의 진로성숙도 수준은 보통 이하로 낮게 나타남.
○ 시설보호청소년들은 사회복지사(6.8%), 교사(6.5%), 엔지니어(6.5%) 등의 진로를 희망하고 있으며, 자신의 진로·적성에 관해 주로 시설 내 자립지원전담요원(75.5%)과 대화를 나누는 것으로 확인됨.
○ 시설보호청소년의 원활한 자립 지원을 위해서는 시설보호청소년이 체계적으로 진로를 설계해 나갈 수 있도록 진로역량 개발 프로그램을 운영할 필요가 있음.
○ Level of self-sufficiency among youth in residential care is overall high both in self-assessment by youth in residential care and in evaluations from dedicated self-sufficiency support staff.
○ Although the t-score distribution of career maturity among youth in residential care show above-average range around 90% in self-assessment, dedicated self-sufficiency support staff evaluations show below-average levels.
○ Youth in residential care aspire for careers such as social welfare worker (6.8%), teachers (6.5%), and engineers (6.5%), it is found that counseling on career and aptitude are mostly conducted with dedicated self-sufficiency support staff (75.5%).
○ Career competency development programs, which support systematic career path design, should be provided to efficiently support the self-sufficiency of youth in residential care.
관련 주제 다른자료의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ㅈ어보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관련 과제 정보전체 2
기본 취약청년의 자립과 취업 지원 방안(2021): 시설보호청소년 2021.01.01~2021.12.31 바로가기
기본 인재개발 동향분석 연구 사업(2022) 2022.01.01~2022.12.31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557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