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대학교육의 사회적 이득 국제비교

International comparison of social benefits delivered by higher education
저자
반가운 김영빈
분류정보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연구원
발행일
2022.03.16
등록일
2022.03.16
○ 대학교육의 사회적 이득은 2019년 OECD 국가 기준으로 1인당 GDP의 약 2,000USD ~ 6,000USD 정도인 것으로 나타남. 
○ 한국 대학교육의 사회적 이득은 OECD 국가들에 비해 높은 수준이며, 특히 대학교육이 국민 개개인에게 주는 인당 사회적 이득은 1997년 약 2,000USD에서 2019년 현재 약 6,000USD로 증가함. 즉, 대학교육은 현재 국민 개개인에게 약 6,000USD 정도의 부를 창출하는 긍정적인 파급효과가 있음.
○ 현재 한국의 인당 GDP가 약 30,000USD임을 감안하면, ‘내가 창출한 경제적 가치의 20% 정도가 대학교육을 받은 타인의 인적자본에서 올 정도의 혜택’을 사회 전체적으로 얻고 있음.
○ 더 많은 공동체 구성원들이 더 높은 수준의 교육을 받을수록 국민경제 전체차원의 경제적 성과도 더 커짐.
○ 다만, 한국 대학교육의 사회적 이득은 1997년부터 2019년까지 지속적으로 증가하나, 그 추세는 둔화되고 있음.
○ In OECD countries, the social benefits of higher education in 2019 were valued at approx. USD 2,000-6,000 in terms of per-capita GDP.
○ The figure for Korea is higher than for other OECD countries, with per-capita social benefits from higher education in the country rising from approx. USD 2,000 in 1997 to approx. USD 6,000 in 2019. In other words, higher education has the positive effect of creating financial benefits valued at USD 6,000 per person in Korea. 
○ Given Korea’s per-capita GDP is USD 30,000 currently, 20% of the economic value created by an individual comes from others who have received higher education, which testifies to the level of benefits delivered by higher education for the entire country.
○ The more people receive higher levels of education, the better the economic outcome is for the entire country.
○ The social benefits from higher education steadily rose from 1997 to 2019, but the pace of growth was slowing.
관련 주제 다른자료의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ㅈ어보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관련 과제 정보전체 2
기본 AI 시대, 미래의 노동자는 어떠한 역량이 필요할까? 2021.01.01~2021.12.31 바로가기
기본 인재개발 동향분석 연구 사업(2022) 2022.01.01~2022.12.31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557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