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동자 직업능력개발에 관여하는 것에 대한 노동조합의 인식
Labor union’s perception of engaging in the vocational skills development of workers
- 저자
- 윤수린
- 분류정보
- 발행기관
- 한국직업능력연구원
- 발행일
- 2022.04.28
- 등록일
- 2022.04.28
○ 노동계 인사의 80% 이상이 임금과 고용안정성에 있어서 노동자의 직무역량 수준이 중요하다고 응답함. 전직 및 이직, 복지 향상에도 노동자의 직무역량이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응답자 비율 또한 70% 이상임. ○ 직업훈련 관련 정책 결정 및 정책 실행에 노조가 참여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노동계 인사의 비율도 83.4%에 달함. ○ 한편, 노동 관련 거버넌스에 참여하는 노동계 인사들의 여러 역량 중 ‘노동자 직업능력개발’과 관련된 역량이 가장 낮은 것으로 평가되고 있으며, 노조의 주요 의제의 우선순위에서도 직업능력개발의 중요도는 최하위임. ○ 임금 인상에 대한 노조의 기여도는 5점 만점 중 4.44점으로 가장 높게 평가되었으나, 직업능력개발에 대한 기여도는 3.10점으로 평가되어 다른 의제에 비해 노조의 기여도가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남. ○ 노동계 인사들은 직업능력개발에 대한 노조의 참여가 저조한 주요 원인으로 의제의 우선순위가 낮고(4.15점), 사용자 측의 관심이 높지 않으며(4.15점), 노조가 직업훈련에 기여할 기회가 마땅하지 않은 점(3.93점)을 꼽음.
○ More than 80% of labor leaders said that the job skill levels of workers are important to their wages and employment security. In addition, over 70% of the respondents said that job skill levels of workers are crucial in changing careers or jobs and obtaining employee benefits. ○ As many as 83.4% of the respondents believe that labor unions should be involved in making and implementing vocational training policies. ○ Out of the capabilities of labor leaders who participate in labor-related governance, capabilities related to vocational skills development of workers have been found to be weakest. Vocational skills development is also at the bottom of the priority list for labor unions. ○ Labor unions scored 4.44 out of 5 in terms of contribution to wage increases but scored 3.10 when it comes to contribution to vocational skills development, an issue on which their impact is lower than on all other issues. ○ As for reasons why the levels of involvement of labor unions in vocational skills development is low, labor leaders cited a low priority (4.15), a lackluster interest from employers (4.15), and rare opportunities for labor unions to contribute to vocational training (3.93).
번호 | 제목 | 저자 | 발행일 | 발행기관 | 첨부 |
---|
관련 과제 정보전체 2 건
기본 | 노동조합의 직업훈련 거버넌스 참여 제고 방안 | 2021.01.01~2021.10.31 | 바로가기 |
기본 | 인재개발 동향분석 연구 사업(2022) | 2022.01.01~2022.12.31 | 바로가기 |
-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 홍보팀 · 044-415-35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