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중소 제조업의 디지털 성숙도 현황과 인적자원개발

Digital maturity and human resource development of small and medium manufacturers
저자
홍광표
분류정보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연구원
발행일
2022.05.31
등록일
2022.05.30
○ 우리나라 중소 제조업은 디지털 성숙도가 60점 만점에 27점으로 디지털화에 대한 준비도가 높지 않은 편이며, 산업 형태별로도 디지털 성숙도에 차이를 보이고 있음.
○ 디지털 성숙도가 평균 이상인 중소 제조기업이 평균 이하인 기업에 비해 최근 3년간 교육훈련 활동을 더 활발히 진행한 것으로 나타남.
○ 반면 디지털화 진전에 따른 교육훈련의 필요성은 5점 만점에 평균 3.7점이고 디지털 성숙도가 낮은 기업도 3점 이상으로 나타나, 우리나라 중소 제조업은 디지털화에 대비한 교육훈련의 필요성을 높게 인식하고 있음.
○ 디지털 성숙도와 매출, 그리고 인적자원개발은 서로 양(+)의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디지털 성숙도가 높을수록 기업의 미래를 긍정적으로 바라봄.
○ 중소 제조업의 디지털화 진행과 인적자원에 대한 투자를 병행할 수 있도록 다각적인 맞춤형 지원이 필요함.
○ Korean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in the manufacturing sector are not well prepared for digitalization, scoring 27 points on a 1-60 scale in digital maturity and their digital maturity scores vary by industry type.
○ Digitally mature companies have been more active in educating and training their workers over the past three years than those with lower digital maturity.
○ With the progress of digital transformation, companies recognize the need to train their workers to acquire digital skills, marking 3.7 points on average on a 1-5 scale. Companies with lower digital maturity also recorded 3 points and above.
○ Digital maturity, sales and talent development show positive correlations, and digitally mature companies are likely to have a positive view of their future.
○ It is vital to provide diverse and customized support to small and medium manufacturers so that they can pursue digitalization and invest in human capital in parallel.
관련 주제 다른자료의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ㅈ어보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관련 과제 정보전체 2
기본 중소기업의 산업구조 변화 대응 및 경쟁력 확보를 위한 인적자원개발 정책에 관한 연구: 제조업을 중심으로 2021.01.01~2021.10.31 바로가기
기본 인재개발 동향분석 연구 사업(2022) 2022.01.01~2022.12.31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557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