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직업계고 졸업 후 진로 동향 및 경기지표와의 관계

Relationships between career trajectories of vocational high school graduates and macro-economic indicators
저자
안재영 김세훈
분류정보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연구원
발행일
2022.06.28
등록일
2022.06.28
○ 직업계고 취업 활성화 정책으로 취업률이 지속적으로 상승하여 2017년에 50%대까지 이르렀으나, 그 뒤로 하락하여 2021년에는 20%대까지 떨어짐.
○ 반면 진학률은 2017년에 30.9%로 저점을 찍은 후 지속적으로 상승하여, 2021년에는 40%대까지 오름.
○ 진로 미결정 비율은 지난 13년 동안 8%대에서 20% 후반대로 꾸준히 상승함.
○ 대졸자 취업률과는 달리 직업계고 취업률은 경기지표와 상관관계가 낮게 나타나, 직업계고 졸업자의 취업은 경기 그 자체보다는 정부의 고교 취업 활성화 정책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보임.
○ ‘취업’뿐만 아니라 ‘동일 전공 분야의 진학’도 직업계고의 성과목표로 설정하여 직업계고 졸업 후 진로를 확장해야 할 것임. 직업계고 졸업 후 진로 미결정 비율을 낮추기 위하여 직업계고 졸업 후 진로 정책의 재설계가 필요함.
○ Due to public policies promoting the employment of vocational high school graduates, their employment rate continued to rise and reached the 50% range by 2017 before falling to the 20% range in 2021.
○ On the other hand, their college enrollment rate continued to climb, posting the 40% range by 2021 after hitting the bottom at 30.9% in 2017.
○ The percentage of vocational high school graduates who are undecided between college or career has steadily risen from about 8% in 2008 to almost 30% in 2021.
○ Unlike college graduates, the employment rate of vocational high school graduates shows a low correlation with macro-economic indicators, indicating that their employment is more impacted by public policies facilitating the employment of high school graduates than by macro-economic factors.
○ Vocational high schools should also be evaluated based on the number of graduates who are enrolled in college with same major as well as the rate of employment in order to expand career pathways that graduates can explore. It is imperative to redesign career policies for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to lower the rate of undecided students.
관련 주제 다른자료의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ㅈ어보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기본 인재개발 동향분석 연구 사업(2022) 2022.01.01~2022.12.31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557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