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기술직과 생산직 근로자의 직무 특성 한독 비교

Comparison between Korea and Germany in Terms of the Job Characteristics of Technicians and Production Workers
저자
김안국
분류정보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연구원
발행일
2022.09.15
등록일
2022.09.15
○ 한국과 독일의 생산직과 기술직 근로자의 직무 특성은 큰 차이를 보임. 그 차이는 생산직과 기술직 사이의 차이나 중소기업과 대기업 사이의 차이가 아니라 주로 한국과 독일의 차이인 것으로 나타남.
○ 새로운 과업이 발생하거나 작업 절차 개선과 새로운 방법을 시도하는 빈도에서 한국은 독일에 비해 크게 뒤짐.
○ 역량을 최대한으로 끌어올려서 일해야 하는 빈도는 한국의 경우 전혀 없거나 드물지만, 독일에서는 생산직과 기술직 모두 높음.
○ 한국은 지시에 따라 일하는 경우가 많고, 독일은 독자적으로 작업하는 경우가 많음. 새로운 공정기술과 프로그램, 장비의 도입 등으로 인한 변화와 구조조정의 경험은 독일이 한국보다 많음.
○ 한국은 직무 특성과 작업장의 구조적 변화에서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의 차이가 크지 않으며, 기술직과 생산직의 차이도 없는 편임. 이는 현재 대기업과 중소기업에 커다란 임금 격차가 있는 현실과 맞지 않음.
○ Korea and Germany display considerable differences in terms of the job characteristics of technicians and production workers. These differences were found to concern the disparity between the two countries, not the disparity between technicians and production workers or SMEs and large corporations.
○ Korea notably fell behind Germany in terms of the frequency of improving relevant procedures and implementing innovative methods for new tasks.
○ Technicians and production workers in Korea were seldom required to utilize their capacity to the fullest at work, while those in Germany were frequently required to do so.
○ Technicians and production workers in Korea were frequently instructed, while those in Germany were allowed to work on their own in general. Changes due to new processing technologies, programs, and equipment and experiences of restructuring were more frequently found in Germany than in Korea.
○ In Korea, large corporations and SMEs showed little difference in terms of job characteristics and structural changes to work sites as well as the working conditions of technicians and production workers. This is inconsistent with the fact that a wide wage gap exists between large corporations and SMEs.
관련 주제 다른자료의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ㅈ어보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관련 과제 정보전체 2
수탁 4차 산업혁명과 노동자 숙련변화(Ⅲ) -한국(KRIVET)-독일(BIBB) 공동과제- 2020.11.16~2021.10.29 바로가기
기본 인재개발 동향분석 연구 사업(2022) 2022.01.01~2022.12.31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557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