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의 학습권 보장과 일학습병행 제도의 성과
Guarantee of Workers’ Right to Education and Outcomes of Work-Study Balance
- 저자
- 전성준
- 분류정보
- 발행기관
- 한국직업능력연구원
- 발행일
- 2022.09.29
- 등록일
- 2022.09.29
○ 일학습병행 제도에 참여하는 학습근로자들은 전반적으로 기업에서 학습권을 충분히 보장하고 있다고 생각함. ○ 학습근로자들은 일학습병행 제도의 성과 중 ‘직무수행능력 향상’을 상대적으로 가장 높게, ‘경력몰입도 향상’을 상대적으로 가장 낮게 평가하고 있으나, 대체로 일학습병행 제도의 성과를 '보통' 이상으로 인식하고 있음. ○ 학습기업에서의 학습권 보장은 일학습병행 제도의 성과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학습권 보장은 일학습병행 제도의 성과 제고를 위해 고려해야 할 사항이라는 것을 알 수 있음. ○ 일학습병행 제도의 취지는 일과 학습을 병행하여 실무 중심의 인재로 양성하는 것이기에, 학습근로자를 근로기준법 제2조에서 규정하는 ‘근로자’로만 볼 것이 아니라, 직무와 관련된 교육훈련에 대해 충분한 학습시간을 보장하고, 교육훈련 내용 역시 이론과 실무가 잘 연계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필요함.
○ Learning workers who have participated in the work-study balance scheme mostly believed that their right to education was being sufficiently guaranteed at work. ○ Among the expected outcomes of the work-study balance scheme, learning workers were found to give the highest evaluations on “the improvement of job capacity” and the lowest evaluations on “the improvement of work engagement.” Overall, they viewed the outcomes of the scheme as “above average.” ○ The guarantee of workers’ right to education at work was found to be having a positive impact on the outcomes of the scheme. This indicates that the guarantee of workers’ right to education must be taken into consideration to enhance the performance of the scheme. ○ The work-study balance scheme is aimed at helping learning workers successfully manage their work and study and grow into professionals who are well trained on the business frontier. It is essential to guarantee sufficient time for education and training related to their jobs and offer both theoretical and practical training programs, rather than viewing them simply as “workers” defined in Article 2 of the Labor Standards Act.
번호 | 제목 | 저자 | 발행일 | 발행기관 | 첨부 |
---|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건
기본 | 인재개발 동향분석 연구 사업(2022) | 2022.01.01~2022.12.31 | 바로가기 |
-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 홍보팀 · 044-415-35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