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직업계고 졸업자의 노동시장 이행 상태 변화: 2005년 졸업자와 2018년 졸업자 비교를 중심으로

Changes in School-to-Work Transition of Vocational High School Graduates: Centered around 2005 Graduates and 2018 Graduates
저자
류지은
분류정보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연구원
발행일
2023.03.15
등록일
2023.03.15
○ 최근 3년간 직업계고 취업률은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으나, 진학률 역시 계속해서 증가하고 있는 상황임.
○ 2005년 직업계고 졸업자는 졸업 직후 전문대학 진학을 선택하는 비율이 가장 높은 반면, 2018년 졸업자는 임금 근로 비율이 가장 높음.
○ 2005년 졸업자는 졸업 후 주로 ‘선진학-후취업’ 형태의 이행 경로를 보인 데 비해, 2018년 졸업자는 졸업 후 계속해서 상용직 임금근로자로 재직하는 경로가 대표적임.
○ 노동시장 진입 후 이행 상태 변화는 2005년 졸업자와 2018년 졸업자 모두 상용직 임금근로 상태 유지가 주된 경로로 나타남.
○ 고졸 친화형 노동시장 조성 등 적극적인 고졸 취업 지원 정책을 통해 직업계고 졸업자의 노동시장 안착을 지원하는 것이 필요함.
○ The employment rate of vocational high school graduates has been increasing over the last 3 years. Concurrently, the entrance rate has also been increasing.
○ Most vocational high school graduates in 2005 chose to go to college after graduating from high school. On the other hand, most 2018 graduates chose to become wage and salaried workers.
○ Most 2005 graduates chose to go to college first and find a job later after graduating from high school. On the other hand, most 2018 graduates continued to work as full-time salaried workers after graduating from high school.
○ Both 2005 and 2018 graduates mostly continue to work as full-time salaried workers once they enter the labor market.
○ Supporting the continued participation of vocational high school graduates in the labor market is necessary by providing policies that support the employment of high school graduates, such as creating a higher school graduate-friendly labor market.
관련 주제 다른자료의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ㅈ어보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관련 과제 정보전체 2
기본 직업계고 졸업자의 경력경로 유형과 특성 2022.01.01~2022.10.31 바로가기
기본 인재개발 동향분석 연구 사업(2023) 2023.01.01~2023.12.31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557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