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지방대학 박사의 개인 특성과 초기 노동시장 이행

Characteristics and Early Labor Market Transition of Doctorate Recipients from Regional Universities in Korea
저자
장광남 최현식
분류정보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연구원
발행일
2023.04.13
등록일
2023.04.13
최근 5년간 배출된 지방대학 박사 중 여성 박사와 외국인 박사가 차지하는 비중이 증가하고 있음. 학업전념 박사만을 놓고 볼 때, 진로확정비중 등 고용 측면에서의 초기 이행성과는 수도권 대학 박사와 차이가 크지 않았으나, 임금 측면에서의 성과라 할 수 있는 연 근로소득에서는 수도권 대학 박사의 소득에 비해 낮았음. 권역별로는 대경권과 충청권 학업전념 박사의 상용직 비중, 정규직 비중 및 연 근로소득이 타 권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았으며, 동시에 수도권으로의 이동 비중 역시 타 권역에 비해 높게 나타났음. 지방대학 박사의 정주에 있어 개인적 요인, 대학원의 역량 요인과 함께 경제적 요인이 크게 작용함을 알 수 있음. 이는 지역 노동시장이 높은 임금과 고용 안정성을 제공하는 것이 박사급 고급인력 유출을 줄이는 데 중요함을 시사함.
The percentage of women and foreigners with doctoral degrees who graduated from regional universities has been increasing over the five years. From the employment side, early engagement in the labor market by doctoral students focusing solely on school did not vary greatly from doctoral students studying at universities in metropolitan areas. However, their annual income, which is a key performance indicator, was lower than that of their metropolitan counterparts. A higher percentage of doctoral students who are focused on school in Daegu, Gyeongsang-do Provinces and Chungcheong-do Province were employed as salaried and full-time workers with a higher income level compared to their counterparts in other regions. Concurrently, they tended to move to metropolitan areas more than their counterparts. For doctoral students at regional universities, financial reasons played an important role in deciding whether to focus solely on school, along with personal reasons and the capacity of their graduate schools. Consequently, it indicates that local labor markets need to provide higher income and employment stability to competent talented local doctoral students from moving to other regions.
관련 주제 다른자료의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ㅈ어보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관련 과제 정보전체 2
수시 (수시)국내 신규박사학위 취득자의 특성과 지방대학 박사의 노동시장 이행 2022.04.01~2022.09.30 바로가기
기본 인재개발 동향분석 연구 사업(2023) 2023.01.01~2023.12.31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557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