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다문화청소년의 자립기술 및 진로성숙도 수준

The Levels of Self-Reliance Skills and Career Maturity of Multicultural Youths
저자
변숙영 이정민
분류정보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연구원
발행일
2023.05.18
등록일
2023.05.18
다문화청소년은 사회·경제적 자립을 위한 지원이 필요한 대상임에도 불구하고 현재 관련 정책적 지원이 미비함. 한국직업능력연구원이 2022년 실시한 조사 결과, 다문화청소년이 인식하는 진로성숙도는 일반 청소년과 비교할 때 낮은 편이었으며, 국내출생 다문화청소년에 비하여 중도입국 다문화청소년의 자립기술 수준이 더 낮게 나타남. 다문화청소년의 희망 직업은 IT 전문가(7.6%), 교사(7.1%) 및 회사원(7.1%) 순으로 나타났고, 총 53가지 종류의 직업이 보고되어 다문화청소년의 희망 직업이 매우 다양함을 확인함. 다문화청소년의 원활한 자립을 위해서는 이들의 배경과 특성을 고려하여 한국어 교육에 기반한 진로 및 직업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할 필요가 있음.
There is a pressing need for increased policy support for multicultural youths in their pursuit of socioeconomic self-reliance. According to a 2022 study conducted by the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KRIVET), multicultural youths perceived their level of career maturity to be relatively low when compared to their non-multicultural counterparts. Furthermore, immigrant multicultural youths exhibited lower levels of self-reliance skills compared to multicultural youths who were born and raised in Korea. Noteworthy, multicultural youths expressed aspirations to pursue careers as IT specialists (7.6% of all respondents), teachers (7.1%), and white-collar office workers (7.1%). Their responses encompassed a total of 53 different occupations, underscoring their diverse range of career interests. It is imperative to take into account the backgrounds and characteristics of multicultural youths when designing career and vocational training programs, particularly those rooted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to facilitate their successful transition to independence.
관련 주제 다른자료의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ㅈ어보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관련 과제 정보전체 2
기본 취약청소년의 자립과 취업 지원 방안(2022): 다문화청소년 2022.01.01~2022.12.31 바로가기
기본 인재개발 동향분석 연구 사업(2023) 2023.01.01~2023.12.31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557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