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과학기술 잠재적 인재풀의 STEM 경로 유형화 및 환경적 영향 탐색

Classification of STEM Paths of the Potential Science and Technology Talents and Exploring Environmental Effects
저자
이수현
분류정보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연구원
발행일
2023.05.31
등록일
2023.05.31
과학기술 분야 인재 확보의 중요성이 점차 높아지는 가운데 우리나라는 이공계 인재의 유입과 유지에 여전히 어려움을 겪고 있음. 교육 및 고용 관련 패널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가구소득, 부모 학력과 직종, 과학고 재학 여부 등 환경적 변인에 따라 이공계 학사취득, 대학원 진입, 연구개발직 진입 등에 격차를 보였으며, 고교 재학 시 과학기술 분야 진학 또는 직업 희망자 절반이 이후 ‘성취·동기 저하’ 집단에 속하는 것으로 나타났음. 과학기술 분야 4년제 대학 진입 이후 38.8%는 ‘부적응’ 유형으로 분류되며, 환경적 변인 중 아버지의 학력과 관련 분야 종사 여부와 연관이 있음. 과학기술 잠재적 인력풀의 경로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과학기술 분야 관련 학업 및 진로 탐색 기회의 다양성을 확대할 필요가 있으며 교육 소외 계층을 위한 제도적 장치를 마련해야 함.
Korea is struggling to attract and retain human resources in science and technology, although the importance of securing talents in the fields continues to grow. An analysis of panel data related to education and employment showed that variances in the completion of a bachelor’s degree in science and technology, entering a graduate program, and starting a career in research and development were associated with factors such as the level of household income, parents’ educational attainment, and father’s occupations in science and technology, and whether one attended science high school or not. Half of those who wished to study or work in the field of science and technology when they were in high school later belonged to the group with “lowed achievement or motivation.”
관련 주제 다른자료의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ㅈ어보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관련 과제 정보전체 2
수시 (단기수시)과학기술 잠재적 인재풀의 STEM 경로 유입·지속 현황 및 지원방안 탐색 2022.09.01~2022.11.30 바로가기
기본 인재개발 동향분석 연구 사업(2023) 2023.01.01~2023.12.31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557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