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산업별 인공지능 기술 충격 시나리오 분석

Scenario-based Analysis on Artificial Intelligence’s Impacts on Industries
저자
조성익 김영빈
분류정보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연구원
발행일
2023.07.13
등록일
2023.07.14
산업별 인공지능 기술 충격 시나리오 분석은 각 산업별 전문가를 대상으로 인공지능과 로봇기술의 발달에 따른 생산성 변화의 양상을 파악하고 이를 구성하는 고용과 부가가치의 변화를 추정하기 위함임. 인공지능 기술 도입에 따른 산업별 부가가치 증가율 전망 결과 가장 높은 부가가치 증가율을 보인 산업은 ‘금융 및 보험’이며, 가장 낮은 증가율을 보인 산업은 ‘건설’로 나타남. 산업별 고용 증가율 전망 결과 가장 높은 고용 증가율을 보인 산업은 ‘전문과학 및 기술’이며, 가장 낮은 증가율을 보인 산업은 ‘금융 및 보험’으로 나타남. 이상의 분석 결과는 각각의 산업에서 인공지능 기술의 발달에 따른 변화의 모습이 유사하지 않을 것임을 시사하며, 변화의 양상을 ‘기계에 의한 인간의 대체 또는 협력’으로 단순화하는 것이 변화에 대응하는 구체적인 방안을 모색하는 데 장애가 될 수 있음을 보여줌.
The aim of the scenario-based analysis on AI’s impacts on industries is to estimate changes in employment and their added values across industries, based on the four hypothesized patterns of changes in productivity 
caused by advances in AI and robotics technology. According to a forecast on the rate of increase in added value by industry induced by the adoption of AI technologies, the finance and insurance industries showed the highest rate of increase in added value, with the construction industry with the lowest. Furthermore, the science and technology industries showed the highest rate of increase in employment, while the finance and insurance industries showed the lowest.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changes caused by advances in AI technology will not be the same in all industries. In other words, underestimating and interpreting changes simply as “humans being replaced by or cooperating with machines” can hinder our efforts to respond and find solutions to change.
관련 주제 다른자료의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ㅈ어보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관련 과제 정보전체 2
기본 데이터 기반 미래숙련 전망체계 구축(2022) 2022.01.01~2022.12.31 바로가기
기본 인재개발 동향분석 연구 사업(2023) 2023.01.01~2023.12.31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557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