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동시간 변화와 기업의 직업훈련
Changes in Working Hours and Vocational Training of Companies
- 저자
- 최광성
- 분류정보
- 발행기관
- 한국직업능력연구원
- 발행일
- 2023.07.27
- 등록일
- 2023.07.27
전 세계적으로 장시간 근로가 기피되면서 근로시간이 감소하는 추세임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 근로자의 연평균 근로시간은 여전히 OECD 국가 중 상위권에 해당함. 우리나라는 노동시간 단축을 위해 2018년부터 연장근로 상한제도를 시행하고 있으며, 제도의 시행은 기업의 직업훈련에 긍정적인 영향과 부정적인 영향을 모두 미칠 수 있음. 노동시간의 단축이 기업의 직업훈련 실시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 분석한 결과, 노동시간 단축은 기업의 직업훈련 실시를 위축시켜 교육훈련 참여인원을 감소시켰으며, 이러한 부정적 효과는 제조업에서 특히 크게 나타남 직종별 효과분석을 통해 노동시간 단축이 생산직 근로자의 직업훈련 참여를 감소시키는 점을 확인하였으나, 나머지 직종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남. 연장근로 상한제도가 먼저 시행된 큰 규모의 기업들에서 노동시간 단축의 부정적 효과가 확인되고 있으며, 2021년부터 본 제도가 5인 이상 기업으로 확대·적용된 점을 고려하면 이러한 부정적 효과가 대응력이 낮은 중소기업에게 더욱 큰 충격을 미칠 우려가 있음. 노동시간 단축과 동시에 기업에 필요한 직업훈련을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 제도적 보완책이 필요함
The annual average working hours in Korea remain one of the highest among the OECD nations, despite a reduction in working hours around the world as workers avoid working long hours. Korea implemented a quota system of overtime hours in 2018 to reduce working hours, which is theoretically expected to have both positive and negative effects on the vocational training of companies. An empirical analysis of the impact of reduced working hours on the implementation of vocational training by companies showed that a reduction in working hours limited companies’ implementation of vocational training and led to a drop in the number of education and training participants. Such a negative effect was more apparent in the manufacturing industry. An impact analysis by job category confirmed that a reduction in working hours led to diminished participation of production workers in vocational training; however, it was confirmed that other job categories were not affected to the same extent. Larger companies that implemented the quota system earlier have seen the negative effect of reduced working hours. Considering that the system was expanded and applied to companies of more than five employees in 2021, such a negative effect is likely to bring even worse outcomes for small- to medium-sized companies that cannot respond as effectively as their larger counterparts. Systematic solutions that can reduce working hours and implement vocational training required in companies need to be developed.
번호 | 제목 | 저자 | 발행일 | 발행기관 | 첨부 |
---|
관련 과제 정보전체 2 건
수시 | (단기수시)노동시간 변화가 기업의 직업훈련 실시에 미치는 영향 | 2022.08.01~2022.10.31 | 바로가기 |
기본 | 인재개발 동향분석 연구 사업(2023) | 2023.01.01~2023.12.31 | 바로가기 |
-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 홍보팀 · 044-415-35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