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박사학위 보유자의 성별·고용형태별 임금격차

Income Gaps by Gender and Employment Type Among Doctorate Holders
저자
김명환
분류정보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발행일
2023.12.26
등록일
2023.12.26
한국의 성별 임금격차는 31.1%로 OECD 회원국 중 1위라는 점과 비정규직의 정규직 대비 상대임금 역시 72.9% 수준에 불과하다는 점에 비추어 보면, 성별·고용형태별 격차는 한국노동시장의 주요 특징 중 하나라고 할 수 있음.
박사학위 보유자 역시 이러한 차별적 구조에서 자유로울 수 없임. 박사학위 보유자의 분포별 성별 임금격차를 분석한 결과 명백한 밑바닥 일자리(sticky floor) 효과와 제한적인 유리천장(glass ceiling) 효과를 확인함. 또한 고용형태별 임금격차를 분석한 결과 박사노동시장에서의 비정규직 차별은 상당하며 다만 STEM 부문에서 여타 평균적인 정도에 비해 다소 양호한 수준임을 보여 주었음. 이러한 고학력 노동시장에 나타나는 임금격차를 완화하기 위해서는 처우개선을 위한 법·제도적인 기반구축, 합리적인 임금체계의 도입 등이 요구됨.
Income gaps by gender and employment type are one of the main features of the Korean labor market, given that Korea’s income gap by gender is 31.1%, making it the highest among the OECD countries, and that the income level of temporary workers is only 72.9% of full-time workers. Doctorate holders are also affected by such discriminatory structure. An analysis of income gaps by distribution and gender among doctorate holders showed that the sticky floor effect and the glass ceiling do exist. Furthermore, an analysis of income gaps by employment type revealed that temporary workers are severely discriminated against in the labor market for doctorate holders, although discrimination was less severe in the STEM field compared to the average. A systematic and legal basis, coupled with a system for reasonable wages, is required for better treatment and to close income gaps in the labor market for those with higher levels of educational attainment.
관련 주제 다른자료의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ㅈ어보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기본 인재개발 동향분석 연구 사업(2024) 2024.01.01~2024.12.31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557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