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PISA 데이터로 살펴본 주요국의 사회이동성 비교

Comparing Social Mobility Across Major Countries Using PISA Data
저자
황성수 이지은
분류정보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연구원
발행일
2024.12.12
등록일
2024.12.12
디지털 전환과 인공지능(AI) 등 신기술의 발전 속에서 인구 감소와 사회적 불평등 문제가 더욱 심화되고 있는데, 이러한 사회적 문제들이 사회이동성의 저하와 연결될 수 있음. 이에 PISA 데이터(2006~2022년)를 활용하여 주요국(한국, 미국, 일본, 핀란드)의 상·하향 사회이동성을 측정하였음. 분석 결과 한국, 일본, 핀란드는 2006년에 비해 2022년 상향이동성이 악화되어, 하위 25%에 속한 계층의 교육형평성이 훼손된 것으로 나타남. 유리바닥 지수로 표현된 하향이동성의 경우, 미국과 핀란드는 2006년에 비해 2022년 하향이동성이 높아진 반면, 한국과 일본은 하향이동성이 낮아져 사회이동성이 더욱 경직적으로 변하였음. PISA 데이터 발표시점마다 지속적으로 분석함으로써, 교육형평성 차원에서의 사회이동성이 훼손되지 않았는지 지속적인 관심과 검토가 필요함.
 With the advancement of new technologies such as digital transformation and artificial intelligence (AI), issues like population decline and social inequality have become more pronounced. These societal challenges may be linked to a decline in social mobility. Accordingly, PISA data (2006–2022) was used to measure upward and downward social mobility in major countries, including Korea, the United States, Japan, and Finland.
 The analysis revealed that upward mobility has deteriorated in Korea, Japan, and Finland in 2022 compared to 2006, indicating a decline in educational equity for individuals in the bottom 25% income bracket. In terms of downward mobility, represented by the glass floor index, the United States and Finland saw an increase in downward mobility between 2006 and 2022, while Korea and Japan experienced a decline in downward mobility, suggesting that social mobility has become more rigid in these countries.
 Continuous analysis of PISA data at each reporting period is necessary to monitor and evaluate whether educational equity and social mobility are being compromised.
관련 주제 다른자료의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ㅈ어보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수시 (단기수시)국가별 사회이동성 비교 측정 2024.07.26~2024.10.25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557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