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 진로체험지원센터와 학교 교육과정 연계·협력 방안
Strategies for Collaboration and Integration between Local Career Exploring Support Centers and School Curriculum
- 저자
- 정지은 이지연 김나라 이진솔 장현진 홍선이
- 분류정보
- 기본연구(2024-12)
- 발행기관
- 한국직업능력연구원
- 발행일
- 2024.10.31
- 등록일
- 2024.12.19
요 약 제1장 서론_1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3 제2절 연구 내용 및 방법 6 제3절 용어의 정의 11 제4절 연구의 한계 12 제2장 진로체험지원센터와 학교 교육과정의 이론적 배경_17 제1절 학교 진로교육과 진로체험지원센터의 역할 19 제2절 학교 교육과정과 진로교육 운영 현황 31 제3절 진로체험지원센터와 학교 교육과정 연계의 의의 47 제3장 진로체험지원센터와 학교 교육과정 연계·협력 사례 연구_51 제1절 사례 연구 개요 53 제2절 진로체험지원센터의 학교 교육과정 운영 지원 사례 59 제3절 진로체험지원센터와 학교 교육과정 연계·협력의 주요 논점 91 제4장 진로체험지원센터와 학교 교육과정 연계·협력 설문조사_113 제1절 설문 조사 개요 115 제2절 진로체험지원센터와 학교 교육과정 연계·협력 실태 117 제3절 진로체험지원센터와 학교 교육과정 연계·협력 요구 134 제4절 진로체험지원센터 특성과 학교 교육과정 연계·협력 차이 분석 139 제5절 소결 및 시사점 151 제5장 결론 및 정책 제언_155 제1절 결론 157 제2절 진로체험지원센터와 학교 교육과정의 연계·협력 정책 방안 164 SUMMARY_187 참고문헌_189 부록_195 [부록 1] 진로체험지원센터 대상 설문 조사지 197 [부록 2] 학교 교사 대상 FGI 질문지 203 [부록 3] 시도교육청 장학사(주무관) 대상 FGI 질문지 208
본 연구는 국가 교육과정 변화 대응 및 학교 진로교육 내실화를 위해 진로체험지원센터와 학교 교육과정의 연계·협력에 주목한다. 이를 위해 진로교육과 학교 교육과정 연계·협력의 의의를 탐색하고, 진로체험지원센터와 학교 교육과정 연계·협력 사례 분석, 진로체험지원센터와 학교 교육과정 연계·협력 실태 및 요구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이를 통해 진로체험지원센터와 학교 교육과정 연계 및 협력 방안을 도출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current status and needs of collaboration between Career Exploring Support Centers (CESCs) and school curriculum, and to develop strategies for their effective integration. The research explored the significance of career education and its connection to school curriculum, analyzed case studies of CESC-school curriculum collaborations, and conducted on CESC to analyze the current status and needs for collaboration with school curriculum. Findings from theoretical reviews, case studies, and surveys indicate that CESCs are emerging as key institutions supporting career education in schools by establishing diverse regional networks and developing strategies for school collaboration. However, CESCs currently focus primarily on simple matching between schools and experience providers, lacking a systematic approach for organic integration with school curricula. Schools demand that CESCs enhance their expertise, ensure operational stability, advance programs, and manage the quality of regional resources to effectively connect regional characteristics with educational needs. Despite these expectations, active participation from schools in co-developing career education programs or improving regional quality remains insufficient. To foster CESC-school curriculum integration, a shift in perception and role redefinition among center and school staff is necessary, along with fulfilling institutional and environmental prerequisites. This integration can lead to a complementary relationship between CESCs and schools, offering high-quality career education that reflects regional characteristics and ultimately contributes to developing students' career competencies. Therefore, considering the future-oriented vision of CESCs and the developmental process of collaboration between CESCs and school curricula, three directions for their integration and cooperation were derived. First, we proposed redefining the purpose of collaboration between CESCs and school curricula to strengthen horizontal connections. Second, we suggested improving the quality of collaboration between CESCs and school curricula to enhance vertical connections. Third, we recommended diversifying the points of contact in the collaboration between CESCs and school curricula to reinforce student agency. Policy implementation tasks and detailed action plans were proposed to achieve these objectives.
<표 1-1> 사례 연구 개요 8 <표 1-2> FGI 개요 9 <표 1-3> 설문조사 개요 9 <표 1-4> 전문가 자문 개요 10 <표 2-1> 국가 진로교육 정책 내 진로체험 및 진로체험지원센터관련 내용 21 <표 2-2> 전국 진로체험지원센터 설립·운영 형태 25 <표 2-3> 지역별 진로체험지원센터 설립·운영 형태 26 <표 2-4> 지역별 진로체험지원센터 예산 현황 27 <표 2-5> 지역별 진로체험지원센터 인력 현황 29 <표 2-6> 지역별 진로체험지원센터의 주요 역할과 기능 30 <표 2-7> 국가 교육과정에서의 진로교육 변천 32 <표 2-8> ‘학습자 맞춤교육 강화’를 위한 시도교육청의 학교 교육과정 지원 필요 33 <표 2-9> 교과 통합 진로교육의 유형 35 <표 2-10> 학교급 전환기 진로지도 프로그램 36 <표 2-11> 진로체험 프로그램의 특성 37 <표 2-12> 현장직업체험 프로그램 체크리스트(위계성) 해설 38 <표 2-13> 지역사회 교육 자원과 교과 수업 연계의 의미 구조 39 <표 2-14> 진로교육과 학교 교육과정 연계 시도 40 <표 2-15> 진로교육 집중학년·학기제 운영 여부 및 시기 42 <표 2-16> 자유학기제 운영 시기 42 <표 2-17> 「진로와 직업」 선택 과목 채택 현황(연도별) 43 <표 2-18> 창의적 체험활동 내 진로활동 비율 44 <표 2-19> 학교 진로교육 운영 조직 현황 44 <표 2-20> 학교 진로교육 운영 조직원 수(중·고등학교) 45 <표 2-21> 학교 담임교사와 진로전담교사와의 소통 빈도 45 <표 2-22> 학교 진로교육 영역별 운영 현황 46 <표 2-23> 학교 진로교육 운영을 위한 온·오프라인 지원 활용률 47 <표 3-1> 사례 연구 대상 센터 54 <표 3-2> 사례 연구 참여자 목록 55 <표 3-3> 진로체험지원센터 사례 조사 질문지 56 <표 3-4> 진로체험지원센터 학교 교육과정 연계 FGI 참여자 정보 57 <표 3-5> 진로체험지원센터 학교 교육과정 연계 FGI 질문 구성 58 <표 3-6> 진로체험지원센터의 학교 교육과정 지원 프로그램: A센터 60 <표 3-7> 진로체험지원센터의 학교 교육과정 지원 프로그램: B센터 68 <표 3-8> 진로체험지원센터의 학교 교육과정 지원 프로그램: C센터 75 <표 3-9> 지역진로교육센터의 학교 교육과정 지원 프로그램: D센터 83 <표 3-10> 사례 조사 참여 센터 현황 88 <표 3-11> 사례 연구 결과 종합 89 <표 3-12> FGI 결과 종합 110 <표 4-1> 설문조사 문항 구성 115 <표 4-2> 진로체험지원센터의 학교 지원율 117 <표 4-3> 진로체험지원센터의 학교 진로교육 지원 범위: 학교급 119 <표 4-4> 진로체험지원센터의 학교 진로교육 지원 범위: 시도 내외 120 <표 4-5> 진로체험지원센터의 학교 진로교육 지원 방식 121 <표 4-6> 진로체험지원센터의 협의체 운영 현황 123 <표 4-7> 진로체험지원센터 업무 내 교사 참여도 124 <표 4-8>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 시 고려 요소 126 <표 4-9>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 방식 127 <표 4-10> 개인 신청 프로그램 운영 현황 128 <표 4-11> 학교 교육과정 변화 대응 현황 129 <표 4-12> 진로체험지원센터의 업무 중요도와 수행 인식 수준 132 <표 4-13> 진로체험지원센터의 업무 수행의 어려움 133 <표 4-14> 진로체험지원센터와 학교 교육과정 연계성 강화 핵심 요인 134 <표 4-15> 학교 교육과정 연계 강화를 위한 진로체험지원센터 필요 역량 135 <표 4-16> 학교 교육과정 연계 강화를 위한 센터 지원 필요도-실제지원 수준 137 <표 4-17> 진로체험지원센터의 역할 변화 기대 138 <표 5-1> 진로체험지원센터와 학교 교육과정 연계·협력 발전 단계 163 <표 5-2> 시도교육청의 진로교육 활성화 계획 내용 분석 167 <표 5-3> 국가 진로교육 교육과정 및 진로체험 지침: 국외 사례 168 <표 5-4> 덴마크 ‘초중학교법(Bekendtgørelse af lov om folkeskolen)’의 진로교육 운영 규정 169 <표 5-5> 학교의 진로교육 교육과정 설계 역량 강화 171 <표 5-6> 학교알리미 공시정보 내 ‘학교 진로교육 운영 계획’ 추가 173 <표 5-7> 「진로교육법」 일부개정 법률안과 개정(안) 175 <표 5-8> 지역 진로교육 추진 체계 재정비(안) 176 <표 5-9> 시도별 진로체험지원센터 운영 비교: 대도시 vs 읍면지역 178 <표 5-10> 국가-시도-지역 진로교육 지원체계에서의 모니터링 및 컨설팅 기능 강화 179 <표 5-11> 진로체험지원센터 전문성 개발 체계 마련(안) 180 <표 5-12> 직무분석을 통한 지역 진로교육 전문가 교육과정 개발 절차 181 <표 5-13> 학생 주도적 진로탐색을 위한 진로체험 질 관리체계 개편(안) 183 <표 5-14> 교육과정 편성·운영 기준(고등학교) 184 [그림 1-1] 연구 내용 및 방법 6 [그림 2-1] 진로교육 및 진로체험 추진 체계 20 [그림 2-2] 학교 진로교육 연간 운영 계획 수립 비율(중학교) 41 [그림 2-3] 학교 교육과정과 진로교육의 연계 49 [그림 4-1] 학교급별 학교 지원율이 100%인 센터의 비율 118 [그림 4-2] 관할 학교 외 학교 지원 여부에 따른 학교 진로교육 지원 방식 122 [그림 4-3] 센터 유형별 진로체험지원센터 업무 내 교사 참여도 인식 125 [그림 4-4] 시도교육청 협의체 운영 주기별 센터의 학교 교육과정 변화 대응 현황 131 [그림 4-5] 지역 규모별 센터 유형 비율 139 [그림 4-6] 지역 규모별 센터 주요 예산 출처 비율 140 [그림 4-7] 지역 규모별 정기 협의체 운영 정도(학교 교사) 141 [그림 4-8] 지역 규모별 정기 협의체 운영 정도(학교 외) 142 [그림 4-9] 주요 예산 출처별 정기 협의체 운영 정도(학교 교사) 143 [그림 4-10] 주요 예산 출처별 정기 협의체 운영 정도(학교 외) 144 [그림 4-11] 지역 규모별 학교 진로체험 지원 실행 수준 146 [그림 4-12] 주요 예산 출처별 학교 진로체험 지원 실행 수준 147 [그림 4-13] 지역 규모별 개인 신청 프로그램 운영 여부 148 [그림 4-14] 주요 예산 출처별 개인 신청 프로그램 운영 여부 149 [그림 4-15] 센터 유형별 센터의 학교 교육과정 변화 대응 현황 150 [그림 4-16] 주요 예산 출처별 센터 학교 교육과정 변화 대응 현황 150 [그림 5-1] 환경 변화에 대응하는 진로체험지원센터의 모습 159 [그림 5-2] 학교 교육과정에서 진로교육의 구현 양상 160 [그림 5-3] 진로체험지원센터와 학교 교육과정 연계·협력을 위한 정책 방안 166
번호 | 제목 | 저자 | 발행일 | 발행기관 | 첨부 |
---|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건
기본 | 지역 진로체험지원센터와 학교 교육과정 연계·협력 방안 | 2024.01.01~2024.10.31 | 바로가기 |
-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 홍보팀 · 044-415-35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