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국내 R&D 분야 외국인 고급 인력의 첨단분야 참여 실태와 정주 여건 분석

Foreign High-Skilled Talent in Korea’s R&D Sector: Participation in Advanced Fields and Settlement Conditions
저자
송승원 장광남
분류정보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연구원
발행일
2024.12.31
등록일
2024.12.31
국내 과학기술 R&D 인력 부족 현상이 심화되는 가운데, 국내 박사과정 대학원 외국인 유학생은 지난 5년간 배 이상 증가함. 본 원고는 국내 R&D 분야 외국인 고급 인력의 첨단분야 참여 실태와 정주 여건 인식을 알아보기 위해 국내 R&D 분야 외국인 재직자 및 이공계열 외국인 대학원생 조사 자료를 분석함. 두 집단 모두 70% 이상의 응답자가 현재 한국에서 첨단분야 연구 및 직무를 수행 중이며, 국내 취업의 제일 큰 이유로는 경력개발, 연구 인프라, 급여 수준 등이 언급됨. R&D 분야 외국인 재직자들은 한국 생활과 연구 환경의 점진적 개선을 경험하고 있으며, 이공계열 외국인 대학원생들도 전반적으로 높은 만족도와 긍정적 미래 전망을 보임. 이들에 대한 주기적인 실태조사를 통해 유치-양성-활용-정착 단계별 현황을 파악하고, 데이터 기반의 정책 발굴 및 맞춤형 지원 방안 모색이 요구됨.
 As Korea grapples with a growing shortage of R&D professionals in science and technology, the number of foreign doctoral students in Korean graduate programs has more than doubled over the past five years.
 This study examines the participation of foreign high-skilled talent in advanced research fields and their settlement conditions in Korea, drawing insights from a survey of foreign R&D professionals and international STEM graduate students. Over 70% of respondents in both groups reported being actively engaged in cutting-edge research and professional roles in Korea. The top reasons for choosing Korea as a work destination included career development opportunities, strong research infrastructure, and competitive salaries.
 Foreign R&D professionals noted gradual improvements in Korea’s living and research environments, while international graduate students expressed high levels of satisfaction and a positive outlook on their future in Korea. To strengthen Korea’s ability to attract, develop, and retain high-skilled foreign talent, regular assessments of their experiences are needed. A data-driven approach will be essential in designing tailored policies and support strategies that address each stage of the talent pipeline.
관련 주제 다른자료의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ㅈ어보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수시 첨단분야 인재 확보를 위한 외국인 고급 인력 유치˙활용 현황과 과제 2024.05.01~2024.12.31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557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