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한국의 성인역량과 노동시장 성과: 1주기와 2주기 결과 비교

Adult Skills and Labor Market Outcomes in Korea: A Comparison of PIAAC Cycle 1 and Cycle 2
저자
반가운 이아람
분류정보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연구원
발행일
2025.01.02
등록일
2025.01.02
16~65세 한국인의 성인역량은 PIAAC 1주기(2011~2012년) 조사에 비해 2주기(2022~2023년)에 큰 폭으로 떨어짐. PIAAC의 성인역량 측정은 500점 만점으로 언어능력의 경우 1주기 273점에서 2주기 249점으로 24점이, 수리능력의 경우 1주기 263점에서 2주기 253점으로 10점이 떨어짐. 세대별로 살펴보면 지난 10년 간 모든 세대에서 점수가 하락하였고, 나이가 많은 세대일수록 하락 폭이 더 큼. 1주기에 이어 2주기 조사에서도 한국 노동시장에서 학력은 임금상승 및 고용가능성으로 이어지지만, 역량은 그렇지 않음. 10년의 시차를 둔 두 조사에서 같은 패턴이 확인되었다는 것은 한국 노동시장이 겉으로 드러나는 학력이 아니라 실질적인 역량을 제대로 평가하고 보상하는 시스템이 구조적으로 취약하다는 것을 의미함. 이는 한국의 노동자들이 일터에서 인지적 역량 퇴화를 겪을 가능성을 제기함.
 The skills of Korean adults aged 16–65 have seen a significant decline in PIAAC Cycle 2 (2022–2023) compared to Cycle 1 (2011–2012). According to the 500-point PIAAC scale, literacy scores dropped from 273 in Cycle 1 to 249 in Cycle 2, a decline of 24 points. Similarly, numeracy scores fell from 263 to 253, a 10-point decrease. The downward trend was observed across all age groups, with older generations experiencing the sharpest decline.
 As in Cycle 1, Cycle 2 results reaffirm that academic credentials remain a key factor in securing higher wages and employment opportunities in Korea’s labor market, while actual skill levels continue to have little impact. The persistence of this pattern over a decade suggests that Korea’s labor market still lacks an effective system for evaluating and rewarding real-world competencies over formal education. This raises concerns that cognitive skill deterioration in the workplace may become a long-term issue for Korean workers.
관련 주제 다른자료의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ㅈ어보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557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