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증거 기반 정책 선도를 위한 정보통신기술(ICT) 직업분류 개정 연구

저자
홍광표 주인중 이원희
분류정보
기본연구(2024-23)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연구원
발행일
2024.11.18
등록일
2025.02.06
요약
제1장  서  론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제2절 연구 내용 및 방법
제2장  통계분류체계와 특수분류  
	제1절 통계분류 기준	
	제2절 산업 및 직업 특수분류 현황	
	제3절 시사점	
제3장  국내외 ICT분야 직업분류 검토  
	제1절 해외 사례 검토 	
	제2절 국내 사례 검토	
	제3절 검토 결과 요약	
제4장  정보통신기술(ICT) 직업분류 개정을 위한 조사 분석  
	제1절 ICT전문인력 공급조사 자료 분석	
	제2절 정책협의회	
	제3절 델파이 조사	
제5장  결론  
	제1절 연구 요약	
	제2절 향후 추진 방향	
참고문헌  
부록  
<연구의 목적>
○ 정책 요구 반영
- 통계청에서는 제8차 표준직업분류 개정을 계기로 직업분류를 활용하는 국가승인통계에 대한 점검을 실시하였음.
- 점검 결과, ICT전문인력에 대한 자체 분류체계를 활용하고 있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개선 요청에 대응함.
○ 현장성 강화 및 시의성 높은 ICT전문인력 현황 파악이 가능한 분류체계 구축
- ICT 기술 활용에 있어 핵심인재인 ICT전문인력의 양성 정책 추진을 위해서는 전 산업 분야에 걸친 ICT전문인력의 현황을 업무 중심으로 파악하는 것이 가능해야 함.
- 통계청 사회분류 중 특수분류인 정보통신기술직업분류의 정책적 활용도를 제고함. 
․ 즉 현장적합성 높은 증거 기반 정책 추진을 뒷받침할 수 있는 통계 작성의 기준 마련
<표 2-1> 산업 특수분류 운영 현황	19
<표 2-2> 재분류 예시 – 환경산업 특수분류 中 	21
<표 2-3> 재분류 예시 – 출판산업 특수분류 中 	22
<표 2-4> 한국표준산업분류 및 특수분류의 분류체계 및 연계 현황	23
<표 2-5> 多:多 대응 예시 – 로봇산업 특수분류 中 	25
<표 2-6> 1:多 대응 예시 – 공간정보산업 특수분류 中 	26
<표 2-7> 1:1 대응 예시 – 정보통신기술산업(ICT) 특수분류 中 	27
<표 2-8> 1:1 대응 예시 – 물류산업 특수분류 中 	27
<표 2-9> 직업 특수분류 운영 현황	28
<표 3-1> 영국의 SFIA 분류체계 	34
<표 3-2> 미국 NWCET의 IT인력 분류	38
<표 3-3> 미국 O*NET의 ICT직업분류(세분류) 	41
<표 3-4> 일본 ITSS 분류체계 	43
<표 3-5> ITSS+ ‘데이터 사이언스 영역’ 분류체계 	45
<표 3-6> ITSS+ ‘IoT 설루션’ 전문 영역별 주요 역할 정의 	46
<표 3-7> ITSS+ ‘사이버 보안 영역’ 분류체계 	48
<표 3-8> 정보통신기술(ICT) 직업분류  	49
<표 3-9> 분류 부호 예시(2차 개정, 2010) 	53
<표 3-10> 분류 명칭 예시(2차 개정, 2010) 	53
<표 3-11> 개정에 따른 분류 포함 및 제외 사항(2차 개정, 2010) 	54
<표 3-12> 개정에 따른 분류 세분 예시(3차 개정, 2018) 	55
<표 3-13> 개정에 따른 분류 통합 예시(3차 개정, 2018) 	56
<표 3-14> ICT직업분류 및 과학기술정보통신부 ICT세부직업분류 특징 	57
<표 3-15> ICT직업분류 및 과학기술정보통신부 ICT세부직업분류 연계	58
<표 3-16> ICT세부직업분류와의 연계의 따른 ICT직업분류 3차 개정 내용	59
<표 3-17> ICT전문인력 세부직업 분류	60
<표 3-18> IT분야 역량체계(ITSQF) 구축 현황 	62
<표 4-1> 유관기관 워킹그룹 	75
<표 4-2> ICT 분류체계(안) 구성 기준	77
<표 4-3> ICT직업분류체계(안) 	78
<표 4-4> 전문가 델파이 대상	80
<표 4-5> 전문가 델파이 조사 내용	81
<표 4-6> 채택 여부 판단 기준 	82
<표 4-7> 1차 델파이 조사 결과	84
<표 4-8> 2차 델파이 조사 세부 항목(합치 의견)	87
<표 4-9> 2차 델파이 조사 결과(합치 의견)	88
<표 4-10> 2차 델파이 조사 세부 항목(불합치 의견)	89
<표 4-11> 2차 델파이 조사 결과(불합치 의견)	90
<표 4-12> 3차 델파이 조사 결과	91
<표 4-13> 델파이 조사(3차) 조사항목 	92
<표 4-14> 정보보호 분야 대-중-소분류 	94
<표 4-15> ICT직업분류체계 개편(안)	98
<표 4-16> 직업 정의 조사 결과	100
<표 4-17> 최종 직업 정의(안)	101
<표 4-18> 직업분류체계 매핑 결과	105
<표 4-19> ICT 직업체계 통합본	107
[그림 1-1] 연구 내용 및 체계	11
[그림 3-1] ICT직업분류 및 ICT핵심직업분류 포괄 범위 	57
[그림 5-1] 특수분류 개정 절차	116
관련 주제 다른자료의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ㅈ어보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수시 (수시)증거 기반 정책 선도를 위한 정보통신기술(ICT) 직업분류 개정 연구 2024.07.19~2024.11.18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557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