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 2-1> 산업 특수분류 운영 현황 19
<표 2-2> 재분류 예시 – 환경산업 특수분류 中 21
<표 2-3> 재분류 예시 – 출판산업 특수분류 中 22
<표 2-4> 한국표준산업분류 및 특수분류의 분류체계 및 연계 현황 23
<표 2-5> 多:多 대응 예시 – 로봇산업 특수분류 中 25
<표 2-6> 1:多 대응 예시 – 공간정보산업 특수분류 中 26
<표 2-7> 1:1 대응 예시 – 정보통신기술산업(ICT) 특수분류 中 27
<표 2-8> 1:1 대응 예시 – 물류산업 특수분류 中 27
<표 2-9> 직업 특수분류 운영 현황 28
<표 3-1> 영국의 SFIA 분류체계 34
<표 3-2> 미국 NWCET의 IT인력 분류 38
<표 3-3> 미국 O*NET의 ICT직업분류(세분류) 41
<표 3-4> 일본 ITSS 분류체계 43
<표 3-5> ITSS+ ‘데이터 사이언스 영역’ 분류체계 45
<표 3-6> ITSS+ ‘IoT 설루션’ 전문 영역별 주요 역할 정의 46
<표 3-7> ITSS+ ‘사이버 보안 영역’ 분류체계 48
<표 3-8> 정보통신기술(ICT) 직업분류 49
<표 3-9> 분류 부호 예시(2차 개정, 2010) 53
<표 3-10> 분류 명칭 예시(2차 개정, 2010) 53
<표 3-11> 개정에 따른 분류 포함 및 제외 사항(2차 개정, 2010) 54
<표 3-12> 개정에 따른 분류 세분 예시(3차 개정, 2018) 55
<표 3-13> 개정에 따른 분류 통합 예시(3차 개정, 2018) 56
<표 3-14> ICT직업분류 및 과학기술정보통신부 ICT세부직업분류 특징 57
<표 3-15> ICT직업분류 및 과학기술정보통신부 ICT세부직업분류 연계 58
<표 3-16> ICT세부직업분류와의 연계의 따른 ICT직업분류 3차 개정 내용 59
<표 3-17> ICT전문인력 세부직업 분류 60
<표 3-18> IT분야 역량체계(ITSQF) 구축 현황 62
<표 4-1> 유관기관 워킹그룹 75
<표 4-2> ICT 분류체계(안) 구성 기준 77
<표 4-3> ICT직업분류체계(안) 78
<표 4-4> 전문가 델파이 대상 80
<표 4-5> 전문가 델파이 조사 내용 81
<표 4-6> 채택 여부 판단 기준 82
<표 4-7> 1차 델파이 조사 결과 84
<표 4-8> 2차 델파이 조사 세부 항목(합치 의견) 87
<표 4-9> 2차 델파이 조사 결과(합치 의견) 88
<표 4-10> 2차 델파이 조사 세부 항목(불합치 의견) 89
<표 4-11> 2차 델파이 조사 결과(불합치 의견) 90
<표 4-12> 3차 델파이 조사 결과 91
<표 4-13> 델파이 조사(3차) 조사항목 92
<표 4-14> 정보보호 분야 대-중-소분류 94
<표 4-15> ICT직업분류체계 개편(안) 98
<표 4-16> 직업 정의 조사 결과 100
<표 4-17> 최종 직업 정의(안) 101
<표 4-18> 직업분류체계 매핑 결과 105
<표 4-19> ICT 직업체계 통합본 107
[그림 1-1] 연구 내용 및 체계 11
[그림 3-1] ICT직업분류 및 ICT핵심직업분류 포괄 범위 57
[그림 5-1] 특수분류 개정 절차 116